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20160630 최종본

June 11, 2018 | Author: 서호 이 | Category: Documents


Comments



Description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연구개발 동향

2016. 6. 30.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목 차 □ 머리말

1

I.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종류

3

1. 림포카인 활성 세포(LAK) ---------------------------------------

3

2. 수지상 세포 ----------------------------------------------

3

3. T 세포 기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

4

3.1. 종양 침윤 T 세포(TIL) --------------------------------------

5

3.2. T 세포 수용체 발현 T 세포(TCR-T) ----------------------------

6

3.3.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CAR-T) ------------------------

6

3.4. 유전자 도입 T 세포의 비교 ----------------------------------

10

II.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제조 과정

13

1. 림포카인 활성 세포 --------------------------------------------

13

2. 수지상 세포 -------------------------------------------------

13

3. T 세포 기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

13

3.1. TIL -----------------------------------------------------

13

3.2. TCR-T ---------------------------------------------------

14

3.3. CAR-T --------------------------------------------------

15

III. T 세포 기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임상시험 동향 1. TIL

17

-------------------------------------------------------

17

2. TCR-T -----------------------------------------------------

20

3. CAR-T -----------------------------------------------------

23

3.1. CAR-T 파이프라인 현황 -------------------------------------

30

3.2. CAR-T 기초 및 비임상 연구동향 -------------------------------

33

3.3. CAR-T 개발시 고려사항 ----------------------------------

39

IV. 결론

47

□ 참고문헌

48

이 보고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수행한 「신기술 이용 유전자 치료제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조사 연구」(서울대학교 오유경 교수)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체의 의견 수렴을 거쳐 마련 되었다. 여기에 제시한 내용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정책이나 심사 방향과는 다를 수 있음을 밝힌다.

□ 머리말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란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자연 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 T 세포 등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체내의 면역반응을 활성화시켜 질병을 치료할 목적으 로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는 주로 암 치료를 적응증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환자에게 직접 면역세포를 투여하여 면역 기능을 활성화하여, 치료 효과를 얻 기 때문에 기존의 암 치료에 이용되는 수술 요법,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와는 차별화되 는 치료 기전 및 효능으로, 향후 바이오 신약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 는 분야이다. 특히, 항암치료에서 면역조절 세포치료제가 각광을 받는 이유는 환자의 면역체계가 암세 포를 공격하도록 활성화하여, 기존의 화학요법 항암제에서 나타나는 면역세포의 사멸로 인 한 면역 기능의 저하, 위장관 장애 및 탈모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다. 항체를 이용한 면역항암제가 암세포 표면에서 성장인자로 작용하는 수용체 작용을 저해하거나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 기전 (antibody-dependent cell cytotoxicity)으로 종양의 성장을 저해하는 반면,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는 면역세포를 직접 사용하여 인체의 세포면역 기능을 증강시킴 으로서 종양 세포를 인지하고 살상하여 항종양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는 사용하는 면역세포 및 제조 공정에서 세포 내로 도입하는 유 전자의 특징에 따라 수지상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림포카인 활성세포 (lymphokine activated killer, LAK), 종양 침윤 T 세포 (tumor-infiltrating T lymphocytle, TIL), T 수 용체 발현 T 세포 (T cell receptor-modified T cells, TCR-T),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 (chimeric antigen receptor-modified T cells, CAR-T)를 들 수 있다. 현재 국내외적으로 승인된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는 많지는 않으나, 2010년 미국 Dendreon사가 수지상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인‘Provenge’를 전립선암 치료제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는 2007년에 간암 세포치료제‘이뮨셀-엘씨주’가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로서 추가 임상 시험을 실시하는 조건으로 품목 허가를 받았다.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중 최근 임상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CAR-T는 1989년에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에서 Zelig Eshhar 박사 연구팀에 의해 최초로 개발 되었다. 키메릭 항원 수용체를 발현하는 유전자를 T 세포에 도입하여 세포를 리프로그 래밍하는 개념은 급속한 연구의 진전으로 수년 내에 국외에서 임상 승인 제품까지도 기대되는 새로운 기술 분야이다(Kershaw et al., 2013; Kershaw et al., 2014; Wang et

- 1 -

al., 2015).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 개발되고 있는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들의 작용기전, 제 조 공정, 임상 연구 현황을 소개하고, 특히 CAR-T에 대한 비임상연구 현황 및 규제 과 학적 관점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동향 정보는 연구개발자 및 심사 자에게 최근의 연구 동향을 제공하여 제품 개발 및 제품화에 도움을 되기를 기대한다.

- 2 -

I.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종류 1. 림포카인 활성 세포(LAK)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림포카인 활성 세포(LAK)은 환자에서 얻은 림프구를 사이토카인의 일종인 인터루킨-2(interleukin-2)와 같이 배양하여 항암 면역기능을 증강시킨 것이다. 활성화된 자연살해 세포군 (NK, Natural killer cells)과 MHC(주조직 적합성, Major Histocompatibility)에 독립적인 세포독성 T 세포 (cytotoxic T lymphocyte)가 주를 이루고 있다. 림포카인 활성세포를 이용한 면역조절 세포치료는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의 자연 살해 세포를 이용한 경우보다 강력한 항암 효능을 나타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afreniere and Rosenberg, 1985). 1985년에 암 환자를 대상으로 림포카인 활성세포와 인터루킨-2를 병용 투여하여 종 양 치료 효과를 관찰한 논문이 보고되었다(Rosenberg et al., 1985). 1989년 전이성 악 성 흑색종(metastatic melanoma)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2상 시험 결과에서 림포카인 활성세포의 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고농도의 인터루킨-2로 인하여 전이성 환 자에게서 혈압 강하, 호흡곤란 등의 증세를 유발하는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 (capillary leak syndrome)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Dutcher et al., 1989).

2. 수지상 세포 인체 면역계의 자연 어쥬번트(natural adjuvant)라고 표현되는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s)를 이용한 면역치료는 항원 제시 세포인 수지상 세포의 표면에 종양 항원의 펩타 이드와 MHC가 제시된 형태로 증식하여 투여하는 것이다. 항원 탑재로 세포 내에서 항 원 처리(antigen processing)가 진행되어 수지상 세포의 표면에 MHC와 복합체 형태로 항원 펩타이드가 제시되면, 이를 선택적으로 인지하는 T 세포 수용체를 가진 T 세포의 활성을 유도하고,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을 유도하여 인체내의 항종양 면역력을 높이게 된다. 수지상 세포에 의해 MHC와 함께 면역세포에 제시되는 종양 항원의 탑재 형태로 는 펩타이드 항원 자체를 도입하여 사용하거나, 항원 발현 유전자, 항원 발현 바이러스 벡터를 처리하여 수지상 세포 내에서 항원 단백질이 발현하도록 하는 방법 등 으로 다 양하지만 펩타이드 항원이 탑재된 수지상 세포가 가장 많이 연구되어 왔다. 1996년에 종양 항원이 탑재된 수지상 세포를 이용하여 B 세포 림프종 (B cell lymphoma) 환자에서

- 3 -

항종양 효과를 관찰한 연구 결과가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Hsu et al., 1996). 2010년 미국 FDA에서 승인된 ProvengeTM (sipuleucel-T)는 전립선암 환자의 95%에서 존재하는 전립선 산성 인산 분해효소 (prostatic acid phosphatase)를 전립선암의 종양 항원으로 사용하여 이를 환자의 혈액에서 분화시킨 수지상 세포에 탑재한 다음, 다시 환자에게 투여하는 수지상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이다 (Sims 2012; Gully et al., 2015). 수 지상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의 경우, 수지상 세포에 탑재할 종양 항원의 생산과정이 별 도로 필요하며, 종양 항원을 수지상 세포에 탑재하는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 이 높은 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실제로 2010년에 큰 기대 속에서 승인된 Provenge의 경우 부족한 제조 시설에 의한 공급량의 제한, 높은 치료 비용(31,000불/1 회, 3회/월, 93,000불/월)으로 인한 매출 부진으로 2015년에 Dendreon사가 파산 신청을 한 상태이다(Jaroslawski and Toumi, 2015).

3. T-세포 기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T 세포를 이용하는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는 환자의 종양 조직에 침투한 T 세포를 증 식시켜서 제조하는 종양 침윤 T 세포(tumor-infiltrating lymphocyte, TIL)와 환자의 T 세포를 분리하여 T 세포 수용체(T cell receptor, TCR)나 키메릭 항원 수용체(chimeric antigen

receptor,

CAR)의

유전자를

도입하는

T

세포

수용체

발현

T

세포

(TCR-modified T cell, TCR-T),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 (CAR-modified T cell, CAR-T)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즉, 종양 침윤 T 세포, T 세포 수용체 발현 T

세포,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의 공통점은 모두 T 세포를 이용한 면역조절 세포치 료제라는 것이다. 종양 침윤 T 세포의 경우 환자의 종양 조직에서 T 세포를 분리하여 증식하며, T 세 포 수용체 발현 T 세포와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는 환자 말초혈액 단핵 세포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에서 T 세포를 분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큰 차이점이다 (그림 1). 또한, 대부분의 종양 침윤 T 세포는 별도의 유전자 도입 과정이 없으며, 인터루킨-2를 이용한 증식 배양 과정이 제조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편, TCR-T와 CAR-T의 공통점은 T 세포 내에 외래 유전자로서 T세포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 서열이나 키메릭 항원에 대한 유전자 서열을 도입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TCR-T와 CAR-T는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치료제라고 할 수 있다. - 4 -



3.1. 종양 침윤 T 세포(TIL) TIL은 종양 조직에 존재하는 림프구로서 환자의 종양 조직을 채취하여서 종양 세포 를 살상 능력이 있는 T 세포들을 분리하여 이를 증식한 다음, 환자에게 다시 투여하는 것으로 생검(biopsy)이 가능한 고형암종(solid tumor)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TIL은 T 세 포를 이용한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중 가장 먼저 임상에서의 효능이 연구된 것으로, 미 국의 국립암연구소 (National Cancer Institute)의 Steven Rosenberg 박사팀에서 전이성 흑색종 환자에서 TIL을 투여하여 항암 효과를 관찰한 논문이 1988년 처음으로 보고되 었다 (Rosenberg et al., 1988). TIL을 이용한 면역치료는 LAK에 비하여 종양 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있는 것이 장점 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종양 조직에서 종양 특이적인 T 세포를 분리하는 공정이 복 잡하고 그 수율이 낮은 것이 기술적인 난점이며, 종양 미세 환경에서 TIL의 표면에 존 재하는 수용체 단백질인 PD-1(programmed death-1)이 종양 세포의 PD-L1 리간드 단백 질과 리간드-수용체 상호작용으로 결합할 경우, 종양 세포 살상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 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T 세포 표면의 PD-1 수용체 단백질과 종양 세포의 PD-L1의 상호 작용에 의한 면역세포의 기능 저하를 막기 위하여 PD-1 수용체에 대한 항체 (Duraiswamy et al., 2013), 또는 PD-L1에 대한 항체 치료 (Pilon-Thomas et al., - 5 -

2010; Sznol et al., 2013)를 병용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와 항체치료제의 병용은 향후 의료비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비용 부담이 될 것 으로 보인다. TIL에서는 또한, LAK의 경우와 유사하게 항암 효능의 증강을 위하여 인터루킨-2를 같이 투여하는데(Goedegebuure et al., 1995), 고농도로 투여된 인터루킨-2에 의한 부작 용 문제도 해결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전이성 흑색종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2상의 결 과가 보고된 바 있으며(Besser et al., 2010), 프랑스 Nantes대학 병원에서 흑색종 환자 를 대상으로 TIL과 인터루킨-2를 병용 투여한 임상 3상 연구가 2012년에 종료된 상황 이다(미국 임상시험 등록 사이트 clinicaltrials.gov / 등록번호: NCT00200577). TIL 연구는 약 50~70%의 흑색종 환자에서 종양이 어느 정도 줄어드는 효과가 관찰 되었으나, 흑색종 이외의 암종에서는 뚜렷한 항암 효능이 관찰되지 못하였다. 또한 TIL 의 제조가 모든 흑색종 환자의 종양 조직에서 가능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3.2. T 세포 수용체 발현 T 세포(TCR-T) TCR-T는 종양 세포 표면에 MHC 분자와 같이 제시되는 종양 특이적인 항원 펩타이 드를 인지하는 T 세포 수용체의 유전자를 T 세포내에 도입하여, 종양 항원을 공격하는 TCR이 T 세포 표면에 발현하도록 제조하여 이를 증식한 다음 생체내로 투여하는 면역 조절 세포치료제이다. 환자를 대상으로 TCR-T의 항암 효능이 최초로 보고된 것은 2006년에 전이성 흑색종 환자에서 retroviral vector를 이용하여 TCR 유전자가 도입된 T 세포를 투여하여 종양 크기가 감소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Morgan RA et al., 2006). TCR-T를 이용한 면역치료에서는 환자의 MHC가 TCR을 인지하여야 하므로, 환자의 MHC type 및 MHC와 같이 제시되는 종양 항원 각각이 TCR에 반응성이 있는지 여부를 미리 스크리닝을 하여야 하며, 실제 임상에서 이러한 스크리닝을 수행할 경우 MHC 제 한성으로 대상 환자의 수가 대폭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3.3.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T 세포(CAR-T)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중 가장 최근에 연구되기 시작한 CAR-T는 T 세포 수용체의 - 6 -

세포막 외부(ectodomain) 부분에 암세포 표면의 특징적인 항원을 인지하는 항체의 scFv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부분을 융합하여 T 세포가 암세포의 표면 항원을 특이 적으로 인지하여 공격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이다. CAR-T는 종양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항원을 제작하게 되어 환자의 MHC type에 무관하게 종양 항원에 특이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임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투여 환자군이 TCR-T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TCR-T와 달리 T 세포 수용 체를 사용하여서 종양 세포 항원을 인지하지 않으므로, TCR-T에서 관찰되는 내인성 T 세포 수용체와 외부적으로 도입된 T 세포 수용체의 의도하지 않은 결합에 의하여 자가 면역 질환이 유도될 가능성이 CAR-T에서는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CAR-T가 종양 세포 표면의 항원을 인지하면 T 세포를 활성화하는 보조 자극신호가 세포 내부의 신호 전달 경로를 자극하여서 종양 세포를 살상하는 효능이 즉각적으로 증강되어 임상적인 항종양 효능은 항체나 이전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에 비하여 현저히 높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효능 지속 기간의 측면에서 CAR-T는 “living drug”으로 체내에서 증식 하며 종양 세포를 살상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화학요법제나 항체 의약품에 비하여 현 저히 오랜 기간 동안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Kershaw et al., 2013). 임상적으로는 2011년에 미국 펜실베니아대학의 Carl 교수팀에서 lentiviral vector를 이용하여 CAR을 도입한 T 세포를 이용하여 chronic lymphoid leukemia 환자에서 종양 치료 효과가 최초로 보고되었다 (Porter et al., 2011).

출처 : Maus et al., 2014

- 7 -

CAR-T 세포는 도입하는 보조 자극인자의 유무 및 종류에 따라서 1세대, 2세대, 3세 대로 구분된다 (그림 2). 1세대 CAR-T는 T 세포 수용체의 세포막 바깥쪽의 구조가 항 원을 인식하는 scFv 부분이 존재하도록 설계된 구조로서 별도의 공동 자극 분자 (co-stimulatory molecule)가 도입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1세대 CAR-T의 경우 암세포 표면의 항원을 인지하여도 T 수용체의 자극으로 인한 암세포 사멸 효과가 충분하지 않 은 단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2세대 및 3세대 CAR-T 세포에서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의 카세트 형태의 유전자 설계시에 세포막의 하단 부분에 공동 자극 분자를 삽입하고 있으며 2세대에서는 CD28 또는 4-1BB와 같은 공동 자극 분자가 1개, 3세대에서는 CD27, CD28, 4-1BB, OX40 들 중 두 가지의 공동 자극 분자가 세포막 하단의 세포질 부분에 존재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림 3, Casucci et al., 2011; Maus et al., 2014).



CAR-T 세포가 면역계의 세포 살상능을 이용한 것이나, 그 효과는 특히 고형 종양 (solid tumor)에서는 감소하는 것이 관찰된다. 이는 고형 종양 조직의 면역 억제 미세환 경(immunosuppresive microenvironment)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체내로 투여된 CAR-T 세포가 종양 조직으로 분포하는 효율이 낮은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종양 조직에 침 투한 백혈구는 T 세포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인자를 분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 8 -

CAR-T 세포의 생체 내에서의 활성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보조 자극인자를 추가하여 설계된 2세대 세포의 경우에는 T cell membrane protein-3 (TIM-3), cytotoxic T lymphocyte associated antigen 4 (CTLA-4)와 programmed death-1 (PD-1) 같은 면역 억제 수용체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수용체들은 CAR-T 세포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2세대 CAR-T 세포가 PD-1에 의해 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PD-1에 대한 항체를 CAR-T와 병용 투여하여 CAR-T에 의 한 항암 효능을 높이는 연구 결과가 호주 멜버른 대학의 Darcy 그룹에 의하여 보고된 바 있다(John et al, 2013). 현재, CTLA-4의 항체인 ipilimumab과 CAR-T를 병용 투여하 는 임상 연구가 진행 중이기도 하다(미국 임상시험 등록 사이트 clinicaltrials.gov / 등록 번호: NCT00586391). T 세포의 낮은 활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T 세포의 활성 증강 인자 (activation enhancer)로서 OX40 이나 4-1BB를 도입한 3세대 CAR-T의 경우, 생체 내에서의 활성은 개선되었으나, 과도한 면역계의 활성 증강으로 인한 사이 토카인이 급격히 증가하는 cytokine storm(사이토카인 폭풍) 현상이 관찰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애 요인에 대처하기 위하여 인터루킨-6 항체인 tocilizumab 등 특정 사이토카인의 저해제를 병용 투여하거나, CAR-T 세포에 사멸을 유도하는 자살 유전자(suicide gene)를 삽입한 별도의 CAR-T세포를 투여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표 1).

구 분

1세대

한 계 점

대응 방안

체내 투여시에 증식이 잘 안되고 사멸 되는 비율이 높음

체내에서 증식 효율을 높이는 보조 자극인자를 도입하는 시도 (2세대 CAR-T) - PD-1이나 CTLA-4에 대한 항체와

2세대

체내에서 면역계의 CTLA-4나 PD-1의 신호전달에 의해 증식이 억제되는 문제

CAR-T 병용 투여 - T 세포 활성 증강인자를 CAR 구조에 추가 삽입(3세대 CAR-T)

3세대

과도한 활성 증강으로 사이토카인의 급격한 분비 증가 문제

- 사이토카인 억제제 병용 투여 - CAR-T세포에 자살을 유도하는 자살 유전자 도입 연구

- 9 -

3.4. 유전자 도입 T 세포의 비교 CAR-T가 최근 종양 면역 치료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이 진행되는 이유는 기존 의 방법으로 치료가 어려운 암종에 치료 효능이 크다는 연구 결과 때문이다. CAR-T는 기존의 단클론 항체나 항체-약물 결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에 비하여 높 은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존의 유전자 재조합 T 세포 수용체가 도 입된 T 세포 (T cell receptor-engineered T cell, TCR-T)에 대해서도 차별화되는 특징 을 가진다.

출처 : Kershaw et al., 2014

TCR-T와 CAR-T는 T 세포 내로 유전자를 바이러스 벡터 등을 이용하여 도입하는 면에서 유사점을 가진다. 그러나, T 세포 수용체 구조를 유지하는 유전자 재조합 T 세 포에 대비하여 T 세포 수용체의 구조에 항체의 항원 인지 도메인을 도입하여 변화시킨 CAR-T 세포는 표면 구조 특징이 종양 항원을 인지하는 single chain Fv 형태로 제작되 어 있고(Kershaw et al., 2014, 그림 4), 종양 세포 항원의 MHC 의존성이 없는 차이가 있다. 또한, CAR 유전자 설계시에 보조 자극인자가 이미 CAR의 유전자 서열에 삽입되 어 있으므로 기존의 추가적인 사이토카인의 투여가 필요한 종양 침윤 T 세포나, 항원 제시 세포 등의 추가적인 자극인 필요한 TCR-T와 달리 생체 내에서 생장 증식 능력이 높아 강력한 항암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Gill et al., 2015, 표 2). 다만, CAR-T의 경우 - 10 -

후보 종양 항원은 종양 세포의 표면에 과발현하는 항원에 대해서만 설계가 가능하다.

구 분

CAR 유전자 도입 T 세포

TCR 유전자 도입 T 세포 TCR의 항원 인지 α, β 발현 ☞ T 세포내의 natural T 세포 수용 체와 mismatch되어 유전자 재조합

T 세포 표면 발현 구조 종양 항원인지 scFv 발현

TCR의 일부는 natural TCR이 존재 할 가능성. 특이성이 저하될 수 있 으며 인체의 self-peptide를 non-self로 인지하여 자가면역을 유도할 위험성도

종양세포

표면의

있음(그림 5) 항원을 종양 세포 표면에 MHC와 복합체로 제

종양세포 항원 인지의 MHC에 독립적인 방식으로 인지 시된 항원 펩타이드를 인지 MHC 의존성

☞유전자

재조합

CAR이 ☞환자들의 MHC type별로 서로 다른

MHC가 다른 환자군에 사용 가능

TCR을 제작해야함 종양 항원은 항원 유래 펩타이드가

종양세포 특이적

종양 항원은 세포 표면에 존재 MHC와 복합체를 형성하면 되므로

항원의 세포내 위치

하는 것만 가능

종양 항원이나 세포 표면의 항원이 모두 가능함

CAR 유전자 설계시에 공동 자극 생체내 생장 증식능

인자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생체 내에서 추가적인 자극 없이도 증식 능력을 가짐

생체내 생장 증식 촉진을 위하여 항원 제시 세포 등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자극이 필요함 출처 : Kershaw et al., 2014

TCR-T에서 현재 기술적으로 극복이 필요한 부분은 T 세포에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도입한 종양 항원을 인지하는 TCR 유전자에 의해 발현된 TCR 수용체 단백질과 T 세 포에 원래 존재하는 TCR 수용체 단백질의 구성 인자들이 서로 mismatch 되어서 TCR-T의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문제이다 (그림 5). 즉, TCR은 alpha chain과 beta chain으로 구성되어 3차원적 형태를 만드는데 T 세포에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TCR의 alpha chain과 외부에서 도입된 TCR의 beta chain으로 형성되는 mismatch형 TCR이나 T 세포에 내재적으로 존재하는 TCR의 beta chain과 외부에서 도입된 TCR의 alpha chain으로 형성되는 mismatch형 TCR은 의도하지 않은 형태의 TCR로서 이는 TCR-T의 - 11 -

종양 세포 표면의 항원과 MHC 인지 효율 및 친화성을 저하시키며, self 단백질을 non-self로 인지하여 자가 면역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 12 -

II.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제조 과정 1. 림포카인 활성 세포 LAK 세포는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단핵구를 분리하고 이를 고농도(1,000 U/ml)의 인 터루킨-2의 존재 하에서 약 5일간 배양하여 활성이 증가된 cytotoxic T 세포와 자연 살 해 세포의 혼합 세포를 얻게 되며, 이때 cytotoxic T 세포는 CD3+Leu19+ T cell, 자연 살해 세포는 CD3-Leu19+ NK cells이 주로 유도된다 (Phillips and Lanier, 1986). 이 방법 에서 5일간 배양한 이유는 5일 이후에는 LAK 세포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 다. 후속 연구에서 LAK 세포의 증식 및 활성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1,000 U/ml의 인 터루킨-2에 anti-CD3(OKT3) 단클론 항체를 가하고 12일간 배양한 다음 다양한 사이토 카인 (β-인터루킨-1 0.5 U/ml, 인터페론-β 3 U/ml, 인터페론-γ 100 U/ml)을 추가해주 고 2일간 배양하여 기존 방법보다 1,000배로 LAK 세포를 증식시키는 방법이 보고된 바 있다 (Ochoa et al., 1987).

2. 수지상 세포 환자의 혈액에서 백혈구 성분 채취술 (leukapheresis)을 통하여 백혈구를 분리하고 CD14+ 단백질이 결합된 자성 입자 (CD14+ magnetic bead)를 사용하여 수지상 세포를 분리한다. 수지상 세포를 인터루킨-4 (10 ng/ml) 및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인자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25 ng/ml)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 한다. 미성숙 수지상 세포는 종양 항원 (항원 펩타이드, 항원 단백질, 종양 조직 lysate 등)으로 약 1일간 처리하고 세포의 활성화를 위하여 인터루킨-4 및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인자를 지속적으로 배지에 추가한다. 항원이 탑재된 수지상 세포는 종양괴 사인자-α (tumor necrosis factor-α), 인터루킨-1β, 인터루킨-6 등의 사이토카인 칵테 일 존재하에 1일간 배양하여 성숙한 수지상 세포를 얻는다 (Nava et al., 2012).

3. T 세포 기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3.1. TIL TIL은 환자의 종양 조직을 채취한 다음 조직 분해 효소를 처리하여 세포를 수득하고

- 13 -

이에 고농도의 인터루킨-2를 6,000 U/ml의 고농도로 1주간 처리한다. 이후 계대 배양하 여 다시 3~5주간 배양하여 1~5×107 TIL을 수득하고, TIL의 수득 여부를 인터페론-γ의 분비량을 ELISA로 시험하여 확인한다. 다시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세포와 인터루킨-2, anti-CD3 OKT-3 단클론 항체를 처리하고 2주간 배양하여 TIL을 증식한다. 따라서 환 자의 조직에서 TIL을 채취하고 이를 500~2,000배로 증식시키는데 까지 일반적으로 6~8 주의 기간이 소요된다 (Nguyen et al., 2010; Wu et al., 2012).

3.2. TCR-T TCR-T의 제조 과정은 TCR에 대한 유전자 서열을 만드는 과정, TCR 유전자 서열을 환자 세포에서 분리한 T 세포 내로 도입하는 과정, TCR이 도입된 T 세포를 증식 배양 하는 단계이다. TCR 유전자를 T 세포 내로 도입방법으로 바이러스 벡터가 주로 사용 되며, TCR-T를 도입하기 위하여 T 세포를 활성화하는 과정 및 TCR-T의 증식을 위하 여 인터루킨-2 등 사이토카인이 사용된다. TCR 유전자의 클로닝을 위해서 MHC-종양 항원에 친화성(affinity)이 큰 T cell을 MHC와 항원 epitope 펩타이드의 복합체로 선별 한 다음, 이 세포의 TCR 유전자를 클로닝하게 된다. TCR의 α chain 과 β chain 각각 의 유전자에 대하여 코돈 최적화 (codon optimization)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은 T 세 포 표면에 TCR의 발현양 증강을 좌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 6).



- 14 -

3.3. CAR-T CAR-T 세포의 제조과정은 TCR-T와 유사하게 크게 아래의 3가지 과정으로 진행된다 (Lee et al., 2012; Wang and Rivière, 2014; Levine et al., 2015). 첫 번째 단계는 T 세 포 수용체의 유전자에 항원 인식 scFv 및 보조 자극인자에 대한 유전자 서열을 만드는 과정으로 세포 내에서 세포막에 삽입된 구조의 키메릭 항원 수용체가 발현되도록 유전 자 재조합 과정을 거치게 된다. 두 번째 단계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에 대한 서열을 가지는 유전자를 T 세포 내로 도 입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retrovirus나 lentivirus 등과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거나, 전기 천공으로 T 세포 내로 플라스미드 유전자 (plasmid DNA) 형 태의 재조합 유전자(Huang et al., 2012; Kumaresen et al., 2014; Wang et al., 2014)나 CAR를 발현하는 RNA 서열(Zhao et al., 2010)을 도입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의 재조합 유전자가 도입된 T 세포를 증식 배양 하는 단계이다. T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기 위하여 인터루킨-2 등의 사이토카인이 사용 되며, T 세포를 활성화 하는 방법 (그림 7),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세포 배양 방법 및 공정은 연구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조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 15 -

그림 8에 제시된 것과 같이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세포 배양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 할 수 있는데,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CD3 항체와 인터루킨-2를 병용 처리하는 방법, 고분자 입자의 표면에 CD3 항체와 4-1BBL 단백질을 탑재한 인공 항원 제시 세포 (artificial antigen presenting cell)를 처리하는 방법, 그리고 소구체 (beads) 표면에 고정 화된 CD3 항체와 CD28 항체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들 3가지 방법 중 현재 소구체를 사용하여 CD3 항체와 CD28 항체를 처리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약 2일간 T 세포를 활성화하고, 인터루킨-2를 처리해주는 공정은 CAR 유전자 전달 벡터의 도입 효율을 증강시키는데 필요한 전처리 단계이다. CAR 유전자 전달 벡터를 2일간 처리해 준 이후 CAR을 발현하는 T 세포는 CD4-T 세포나 CD8-T세포가 될 수 있으며, 이들 CAR-T 세포는 다시 인터루킨-2 등의 사이토카인을 처리하여 세포를 증식시킨 다음 환 자에게 투여된다.

출처 : Lee et al., 2012

- 16 -

III. T 세포 기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임상시험 동향 T 세포 기반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인 TIL, TCR-T, CAR-T의 최근 임상시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 임상시험 등록 웹사이트(www.clinicaltrials.gov)에서 검색기간을 2015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지정하여 국가별, 임상단계별 등으로 조사·분석하였다. 국가별 분석은 임상을 주도한 기관(연구소, 대학, 기업체 등)이 속한 국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1. TIL TIL을 이용한 임상시험은 검색어‘Tumor infiltrating lymphocyte’로 검색하여, 총 61건 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임상 1상이 15건, 1상 및 2상 동시 진행이 15건, 2상이 30건, 3상이 1건이 있다. 국가별로 미국이 45건으로 가장 많고, 캐나 다 3건, 프랑스 3건, 덴마크 3건, 중국에서 3건의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표 3). 대상 적응 질환은 고형암인 흑색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유일한 임상 III상은 네덜란드 에서 진행 중이다.

적응 질환

실시 기관

Nasopharyngeal Sun Yat-sen University Carcinoma Platinum Resistant High University Health Network Grade Serous Ovarian

국가

임상 단계

임상등록번호

환자수

비고

중국

I

NCT01462903

20

Recruiting

캐나다

I

NCT01883297

9

Recruiting

캐나다

II

NCT01883323

12

Recruiting

이스라엘

II

NCT00604136

20

Recruiting

미국

II

NCT01807182

40

Recruiting

Melanoma

University Health Network

Metastatic Melanoma Stage IIIA Skin Melanoma Metastatic Melanoma

Hadassah Medical Organization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Lion Biotechnologies

중국

II

NCT02360579

20

Recruiting

Mesothelioma

University Health Network

캐나다

I, II

NCT02414945

10

Ongoing

Melanoma

National Institutes of

미국

I, II

NCT00062036

33

Completed

- 17 -

Metastatic Melanoma Metastatic Melanoma Metastatic Melanoma Metastatic Ocular Melanoma Metastatic Melanoma Melanoma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Cervical Cancer Metastatic Melanoma Metastatic Melanoma Metastatic Melanoma Melanoma Skin Cancer Melanoma Metastatic Melanoma Renal Cell Carcinoma Non Small Cell Lung Cancer Melanoma Melanoma Metastatic Melanom Metastatic Melanoma Melanoma (Skin) Metastatic Non-Small Cell

Health Clinical Center (CC) John Wayne Cancer Institut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미국

II

미국

II

미국

II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미국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22

Recruiting

22

Suspended

NCT01369875

2

Completed

II

NCT01814046

20

Suspended

미국

II

NCT01319565

102

Ongoing

Nantes University Hospital

프랑스

III

NCT00200577

70

Completed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미국

II

NCT01174121

33

Suspended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미국

II

NCT01585428

27

Suspended

Nantes University Hospital

프랑스

I, II

NCT01082887

18

Terminated

미국

II

NCT01468818

18

Terminated

영국

II

NCT01995344

90

Not yet recruiting

미국

II

NCT02111863

6

Ongoing

미국

I, II

NCT01236573

34

Terminated

미국

II

NCT02621021

170

Suspended

네덜란드

III

NCT02278887

162

Recruiting

스페인

II

NCT00610389

27

Recruiting

미국

II

NCT01820754

30

Recruiting

미국

II

NCT00509288

24

Completed

미국

I

NCT01955460

36

Recruiting

미국

II

NCT00314106

26

Completed

미국

I, II

NCT01369888

3

Terminated

Aurora Health Care

미국

II

NCT00863330

14

Terminated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미국

II

NCT02133196

2

Suspended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Christie Hospital NHS Foundation Trust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linical Center (CC)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The Netherlands Cancer Institute Clinica Universidad de Navarra Duke University National Cancer (NCI) M.D. Anderson Center National Cancer (NCI) National Cancer (NCI)

Institute Cancer Institute Institute

- 18 -

NCT02375984 NCT01993719

Lung Cancer Metastatic Melanoma Skin Cancer Nasopharynge al Carcinoma Multiple Myeloma Melanoma (Skin) Breast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Sun Yat-sen University Sidney Kimmel Comprehensive Cancer Center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linical Center (CC)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미국

I

NCT02489266

20

Suspended

미국

II

NCT00509496

21

Terminated

중국

II

150

Recruiting

미국

I, II

NCT00566098

25

Completed

미국

II

NCT00096382

34

Completed

미국

II

NCT00019084

null

Completed

NCT02421640

Pancreatic Cancer

Meyer Pharmaceuticals

미국

II

NCT00003780

150

Ongo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St. Louis

미국

I, II

NCT02439450

8

Ongoing

Solid Tumor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

NCT00019357

-

Completed

Brain and Central Nervous System Tumors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미국

I

NCT00002572

10

Melanoma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

NCT00091104

136

Completed

Breast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

NCT00301730

1

Completed

Multiple Myeloma

University of Maryland

미국

I, II

NCT00046852

-

Completed

Melanoma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

NCT00045149

20

Completed

Melanoma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미국

I, II

NCT00002786

20

Completed

Melanoma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

NCT00003665

40

Completed

미국

II

NCT00006113

25

Terminated

미국

I, II

NCT02650986

24

Not yet recruiting

Herlev Hospital

덴마크

I, II

NCT02354690

12

Recruiting

Metastatic Melanoma

H. Lee Moffi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미국

II

NCT01659151

30

Recruiting

Chronic Lymphocytic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

NCT01445132

11

Completed

Melanoma Adult Solid Neoplasm Metastatic Melanoma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Roswell Park Cancer Institute

- 19 -

Completed

Leukemia Colorectal Cancer

Sidney Kimmel Comprehensive Cancer Center

미국

I

NCT02512172

30

Recruiting

Platinum-resist ant Ovarian Cance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duro Biotech, Inc.

미국

I, II

NCT02575807

126

Recruiting

Sidney Kimmel Comprehensive Cancer Center

미국

I

NCT01966289

32

Recruiting

Lymphoma

Stanford University

미국

I

NCT01745354

12

Recruiting

Bladder Cancer Ovarian Cancer Metastatic Melanoma

Heat Biologics

미국

I, II

NCT02010203

110

Ongoing

Herlev Hospital

덴마크

I

NCT02482090

6

Recruiting

Herlev Hospital

덴마크

I, II

NCT02379195

12

Recruiting

Melanoma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I

NCT00001832

170

Completed

Renal Cell Carcinoma

RennesUniversityHospital

프랑스

II

NCT00151645

36

Terminated

2. TCR-T TCR-T를 이용한 임상시험은 검색어‘T cell receptor’와‘therapy’로 검색하여 총 38건이 검색되었으며, 이를 항원에 따라 분류한 결과 종양 세포의 표면에서 과발현되 는 항원 단백질인 NY-ESO-1(New York-esophageal cancer-1, Chen, 2012)을 항원으로 하여 진행되는 임상 시험이 1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MART-1 (Melanoma-associated antigen recognized by T cells-1)이 7건, WT-1 (Wilms tumor protein-1)이 5건의 순으 로 많았다. 임상 단계는 1상이 11건, 1상 및 2상 동시 진행이 12건, 2상이 14건이 진행 되고 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31건으로 가장 많은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중국 이 4건, 영국이 2건, 네델란드에서 1건의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표 4). 대상 적응질 환은 고형암인 흑색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임상 III상까지 진입한 임상시험은 아 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 -

항원

질환

실시 기관

국가

임상 단계

임상등록번호

환자수

비고

Ovarian cancer

Adaptimmune

미국

I, II

NCT01567891

10

Recruiting

Melanoma

Adaptimmune

미국

I, II

NCT01350401

6

Recruiting

Multiple myeloma

Adaptimmune

미국

I, II

NCT01352286

26

Ongoing

미국

II

NCT01697527

22

Recruiting

미국

I

NCT01457131

2

Terminated

미국

II

NCT00670748

45

Ongoing

미국

I, II

NCT01892293

10

Recruiting

미국

II

NCT02062359

2

Completed

미국

II

NCT01967823

7

Suspended

중국

I

NCT02457650

36

Recruiting

미국

II

NCT00706992

50

Terminated

미국

II

NCT00612222

4

Terminated

미국

II

NCT00910650

22

Recruiting

미국

II

NCT00509288

24

Completed

미국

II

NCT00923195

4

Completed

미국

I

NCT00091104

136

Completed

네덜 란드

I, II

NCT02654821

25

Recruiting

Leukaemia Lymphoma Research

영국

I, II

NCT01621724

18

Recruiting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미국

I, II

NCT01640301

55

Recruiting

Malignant neoplasm NYESO-1

Metastatic cancer Metastatic melanoma Multiple myeloma Metastatic melanoma Sarcoma Bladder carcinoma Melanoma

MART-1

Metastatic melanoma; Skin cancer Metastatic melanoma Melanoma; Skin cancer Melanoma Melanoma (Skin)

WT1

Metastatic melanoma Acute myeloid leukaemia; Chronic myeloid leukaemia Acute myeloid leukemia

Jonsson Comprehensive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Adaptimmune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Shenzhen Second People's Hospital National Cancer Institute National Cancer Institu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linical Center (CC) The Netherlands Cancer Institute

- 21 -

Myelodysplast ic syndromes Non-small cell lung cancer HIV infections

Cell Therapy Catapult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영국

I, II

NCT02550535

30

Recruiting

미국

I, II

NCT02408016

20

Recruiting

Adaptimmune

미국

I

NCT00991224

2

Completed

Metastatic melanoma; Skin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I

NCT00610311

3

Terminated

Skin cancer; Melanoma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미국

II

NCT00509496

21

Terminated

Malignant melanoma

Immunocore Ltd

미국

I

NCT01211262

84

Ongoing

미국

II

NCT00704938

3

Terminated

미국

II

NCT00393029

12

Completed

미국

I, II

NCT01273181

9

Terminated

미국

I, II

NCT02153905

3

Suspended

미국

I, II

NCT02111850

16

Suspended

중국

I

NCT01694472

15

Ongoing

Lion TCR Pte. Ltd.

중국

I, II

NCT02719782

10

Recruiting

Lion TCR Pte. Ltd.

중국

I

NCT02686372

10

Recruiting

미국

I

NCT02706392

60

Ongoing

미국

II

NCT02280811

10

Suspended

gp100

p53

Kidney cancer; Melanoma Melanoma

MAGE -A3

Metastatic cancer Esophageal carcinoma Malignant melanoma

MAGE -A4

Malignant solid tumors

HBV antige 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atocellular carcinoma

ROR1

Breast carcinoma

HPV-1 6 E6 CTLA4 CEA

2G-1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linical Center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Tianjin Medical University Cancer Institute and Hospital

HPV-associat ed cancers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Melanoma

Loyola University

미국

I

NCT01586403

15

Recruiting

Metastatic cancer Renal cancer; Kidney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미국

I

NCT00923806

3

Terminated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

NCT00923390

5

Terminated

- 22 -

3. CAR-T CAR-T 세포를 이용한 임상시험은 검색어‘Chimeric antigen receptor’와‘therapy’ 로 검색하여 조사하였다. T 세포 기반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중에서 가장 많은 임상 시험이 진행중으로 총 100건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73건으로 가장 많고 중국이 20건으로 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영국, 스웨덴, 스위스 등에서 5건의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표 5). 임상 단계별로 보면 임상 0상이 2건, 임상 1상 61건, 임상 1상 및 2상 동시진행이 31건, 임상 2상이 6건으로 파악된다. 임상 연구를 항원에 따라 임상 단계 별로 구분한 것은 표 6에 나타내었다.

국 가

임상 0상

임상 1상

임상 1상/2상

임상 2상

임상3상



미국

2

53

13

5

0

73

중국

0

5

15

0

0

20

영국

0

2

1

0

0

3

스웨덴

0

0

1

0

0

1

스위스

0

0

0

1

0

1

일본

0

0

1

0

0

1

호주

0

1

0

0

0

1

합 계

2

61

31

6

0

100

CD19 항원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cute lymphocytic leukemia: ALL) 환자들의 백혈 병 세포에서 과다 발현되고 있으며, 적혈구, T세포 정상 골수세포에는 존재하지 않는 특징을 이용하여 CD19를 인지하는 CAR-T를 이용한 임상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 고 있다. 미국 국립암연구소의 Daniel W. Lee 박사는 항-CD19 CAR-T 세포를 골수 이 식을 받았지만 재발한 소아 ALL 환자에서 항암 효과를 관찰한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Lee et al., 2014). CAR-T는 다른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와는 달리 백혈병 등 혈액암을 주 적응질환으로 하여 임상시험이 진행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 23 -

항원

질환

기관

B-cell leukemia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B-cell leukemia; lymphoma B-cell NHL, ALL, CLL NHL, CLL B-cell leukemia

CLL Mantle cell lymphoma NHL CD19 B-cell NHL B-cell NHL, ALL, CLL Leukemia, lymphoma B cell leukemia ALL, NHL B-cell ALL NHL, ALL, CLL B-cell ALL

NHL

Baylor College of Medicine Baylor College of Medicine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Chinese PLA General Hospital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Juno) Jichi Medical University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Juno) M.D. Anderson Cancer Center Seattle Children's Hospital National Cancer Institute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Baylor College of Medicine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 24 -

국가

임상 단계

미국

I, II

미국

I

미국

임상등록번호

환자수

비고

20

Recruiting

NCT01029366

14

Completed

I

NCT00586391

54

Ongoing

미국

I

NCT00709033

3

Ongoing

미국

I

NCT01029366

14

Completed

미국

II

NCT01747486

34

Completed

중국

I, II

NCT02081937

2

Recruiting

미국

I

NCT01840566

18

Recruiting

일본

I, II

NCT02134262

18

Recruiting

미국

I, II

NCT01865617

104

Recruiting

미국

I

NCT01497184

96

Recruiting

미국

I

NCT01683279

18

Recruiting

미국

I

NCT01593696

90

Recruiting

미국

I

NCT01860937

55

Recruiting

미국

I

NCT02050347

56

Recruiting

미국

II

NCT02030847

24

Ongoing

미국

II

NCT02030834

55

Recruiting

NCT01626495

B-cell leukemia ALL

ALL

Leukemia NHL, ALL, CLL B-cell lymphoma, luekemia ALL Mediastinal B-cell lymphoma NHL B-cell lymphoma NHL, luekemia NHL, CLL ALL ALL NHL, ALL, CLL Leukemia Lymphoma Lymphoma

University of Pennsylvania (Novartis)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Seattle Children's Hospital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Juno)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Baylor College of Medicine Uppsala University

미국

I

NCT01626495

20

Recruiting

미국

I, II

NCT02028455

80

Recruiting

미국

I

NCT01044069

40

Recruiting

미국

I, II

NCT00466531

30

Recruiting

미국

I

NCT01853631

14

Recruiting

스웨덴

I, II

NCT02132624

15

Recruiting

중국

I

NCT02186860

5

Recruiting

미국

I, II

NCT00924326

56

Recruiting

미국

I

NCT01493453

24

Recruiting

미국

I

NCT00968760

60

Recruiting

미국

I

NCT01087294

48

Recruiting

미국

I

NCT00709033

3

Ongoing

미국

I

NCT01430390

26

Recruiting

영국

I, II

NCT01195480

30

Recruiting

미국

I, II

NCT00840853

68

Recruiting

미국

I, II

NCT01475058

30

Ongoing

미국

I, II

NCT01318317

57

Ongoing

미국

I

NCT00182650

5

Completed

Affiliated Hospital to Academy of Military Medical Sciences National Cancer Institute (Kite) Professor Robert Hawkins M.D. Anderson Cancer Center National Cancer Institute Baylor College of Medicine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University College, London Baylor College of Medicine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City of Hope Medical Center City of Hope Medical Center

B-cell lymphoma

Peking University

중국

I, II

NCT02247609

20

Recruiting

ALL

City of Hope Medical Center

미국

I

NCT02146924

24

Ongoing

- 25 -

B-cell lymphoma

Second Military Medical University

중국

I, II

NCT02644655

20

Recruiting

Lymphoma

Juno Therapeutics, Inc.

미국

I

NCT02631044

70

Recruiting

Leukemia

Shanghai Tongji Hospital

중국

I, II

NCT02537977

40

Recruiting

ALL

Juno Therapeutics, Inc.

미국

II

NCT02535364

90

Recruiting

Pancreatic cancer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University of Pennsylvania

미국

I

NCT02465983

12

Ongoing

Novartis

스위스

II

NCT02445248

100

Recruiting

ALL

Kite Pharma, Inc.

미국

I, II

NCT02614066

75

Recruiting

ALL

Kite Pharma, Inc.

미국

I, II

NCT02625480

75

Recruiting

Lymphoma

Xinqiao Hospital of Chongqing

중국

I, II

NCT02652910

20

Recruiting

Leukemia, Lymphoma

University of Pennsylvania (Novartis)

미국

I

NCT02374333

50

Recruiting

미국

I

NCT00012207

12

Completed

미국

I

NCT00621452

12

Completed

Leukemia, lymphoma CD20

CD22

B-cell CLL Lymphoma

PLA General Hospital

중국

I

NCT01735604

10

Recruiting

Follicular lymphoma, ALL, NHL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

NCT02315612

57

Recruiting

중국

I, II

NCT02259556

30

Recruiting

미국

I

NCT01316146

18

Recruiting

미국

I

NCT01192464

18

Ongoing

중국

I, II

NCT02274584

20

Recruiting

중국

I, II

NCT01864902

10

Recruiting

미국

I

NCT02159495

24

Recruiting

미국

0

NCT02623582

15

Recruiting

중국

I, II

NCT01886976

10

Recruiting

호주

I

NCT01716364

6

Unknown

NHL NHL CD30 NHL

CD33

Peking University

Myeloid leukemia

Chinese PLA General Hospital City of Hope Medical Center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Chinese PLA General Hospital Peter MacCallum

CD123 AML

Lewis

Chinese PLA General Hospital Baylor College of Medicine Baylor College of Medicine

Lymphoma

Leukemia

CD138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National Cancer Institute

Multiple myeloma Multiple

- 26 -

Y

myeloma

Kappa

Lymphoma

NKG2 D

Leukemia Sarcoma Solid tumors

HER2

Metastatic cancer Glio blastoma HER2 positive malignancy

GD2

Breast cancer Neuro blastoma Neuro blastoma Neuro blastoma Sarcomas

CD171

Various cancers Neuro blastoma Cancer

CEA

CEA

EGFR

EGFR vIII

Various cancers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es Breast cancer Metastatic cancers Advanced EGFR-positiv e solid tumors Advanced glioma Glioma

Cancer Centre Baylor College of Medicine

미국

I

NCT00881920

54

Ongoing

미국

I

NCT02203825

24

Recruiting

미국

I

NCT00902044

36

Recruiting

중국

I, II

NCT01935843

10

Recruiting

미국

I

NCT00924287

1

Terminated

미국

I, II

NCT01109095

16

Recruiting

Baylor College of Medicine

미국

I

NCT00889954

18

Recruiting

Fuda Cancer Hospital

중국

I, II

NCT02547961

60

Recruiting

미국

I

NCT00085930

19

Ongoing

미국

I

NCT01460901

5

Recruiting

미국

I

NCT01822652

38

Recruiting

미국

I

NCT01953900

26

Recruiting

미국

I

NCT02107963

72

Recruiting

미국

I

NCT02311621

80

Recruiting

미국

I

NCT00004178

-

Completed

영국

I

NCT01212887

14

Terminated

미국

I

NCT00673322

1

Terminated

미국

I

NCT01373047

8

Completed

미국

I

NCT00673829

26

Ongoing

미국

II

NCT01723306

48

Ongoing

Chinese PLA General Hospital

중국

I, II

NCT01869166

10

Recruiting

RenJi Hospital

중국

I

NCT02331693

10

Recruiting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미국

I

NCT02209376

12

Recruiting

Celdara Medical Baylor College of Medicine Chinese PLA General Hospital National Cancer Institute Baylor College of Medicine

Baylor College of Medicine Children's Mercy Hospital Kansas City Baylor College of Medicine Baylor College of Medicine National Cancer Institute Seattle Children's Hospital Roger Williams Medical Center Cancer Research UK Roger Williams Center Roger Williams Center Roger Williams Center Roger Williams Center

Medical Medical Medical Medical

- 27 -

University of Pennsylvania (Novartis) National Cancer Iv nstitute (Kite)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

미국

I, II

NCT01454596

160

Recruiting

미국

I

NCT01140373

-

Recruiting

Ovarian cancer

National Cancer Institute

미국

I

NCT00019136

-

Completed

Brain tumor

City of Hope Medical Center

미국

I

NCT00730613

3

Completed

IL13 recept or a2

Adult anaplastic astrocytoma

City of Hope Medical Center

미국

I

NCT02208362

44

Recruiting

ErbB T4+

Head and Neck cancer

King's College London

영국

I

NCT01818323

30

Recruiting

FAP

B-cell CLL

미국

I

NCT01722149

12

Recruiting

ROR1

CLL

미국

I

NCT02194374

48

Recruiting

미국

I

NCT02159716

24

Recruiting

미국

I

NCT01355965

6

Ongoing

Glio blastoma PSMA Folate recept or IL-13 zetaki n

Prostate cancer

Metastatic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 ma Mesot helin

WT-1 EphA2

Malignant pleural mesothelia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M.D. Anderson Cancer Center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Novartis)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Novartis)

Malignant mesothelioma

Chinese PLA General Hospital

중국

I

NCT02580747

20

Recruiting

Acute myeloid leukemia Malignant glioma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Juno)

미국

I, II

NCT01640301

55

Recruiting

Fuda Cancer Hospital

중국

I, II

NCT02575261

60

Recruiting

미국

0

NCT02546167

30

Recruiting

중국

I

NCT02541370

20

Recruiting

BCMA

Multiple myeloma

CD133

Liver cancer

Abramson Cancer Center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Chinese PLA General Hospital

- 28 -

MUC1

Malignant glioma

PersonGen Biomedicine (Suzhou) Co., Ltd.

중국

I, II

NCT02617134

20

Recruiting

Hepatocellula r Carcinoma

PersonGen Biomedicine (Suzhou)

중국

I, II

NCT02587689

20

Recruiting

※ A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C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 NHL: non-Hodgkin's lymphoma

- 29 -

3.1. CAR-T 파이프라인 현황 CAR-T의 개발에서 CAR 유전자를 기본적인 파이프라인을 활용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종양 표면 항원에 얼마나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우수한 항체 개발이 중요한 기술이다. 임상시험중인 CAR-T 후보군 중에 CD19를 인지하는 Norvatis의 ALL 치료제인 CTL019가 가장 진행이 많이 되어 있으며, Norvatis에서는 2014년 7월에 미국 FDA에서 CTL019에 대하여“Breakthrough therapy”로 인정받아 수년 내에 CAR-T 분야의 first-in-class 승인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그림 9).

그림 9. Norvatis사의 CAR-T 파이프라인 (www.norvatisoncology.com)

임상시험을 진행중인 제약사로는 Norvatis 및 GSK 등이 CAR-T에 대한 기술력을 가 지는 생명공학 회사들과 협력하고 있다. Norvatis 및 GSK의 CD19-CAR-T는 미국 펜실 베니아 대학의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현재 임상 2상으로 가장 앞서가고 있는 품목이다. Pfizer는 임상 파이프라인을 가지는 프랑스의 Cellectis (그림 10)와 CAR-T 공동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Amgen은 Kite (그림 11)와 Cellgene은

Bluebird

Bio (그림 12)와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다. Takara, Juno (그림 13) 등의 회사도 CAR-T 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임상 연구를 진행 중이다.

- 30 -

Cellectis사는 CD19, CD38, CD123 등을 파이프라인으로 구성하여 비임상을 진행중으 로, 현재 임상시험은 진행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KIte사는

CD19

등을

파이프라인으로

구성하여

임상시험이

진행중으로

B-cell

maliganacies을 적응증으로 한 임상이 타 제조사에 비하여 빠른 임상 II상이 진행중이다.



Bluebird사는 Hematological Malifnancies와 고형암에 대한 비임상이 진행중인 상황이다.



- 31 -

Juno사는 CD19, CD22 등을 파이프라인으로 구성하여 임상시험이 진행중으로, 다른 제조사에 비하여 임상시험 과제를 많이 보유하고 있다.



- 32 -

3.2 CAR-T 기초 및 비임상 연구 동향 CAR-T 세포를 이용한 기초 및 비임상 연구 동향은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에서 운영하 는 학술문헌 사이트인 Pubmed (http://www.ncbi.nlm.nih.gov/ pubmed)에 등록된 임상연 구 문헌을 대상으로 하여‘Chimeric antigen receptor’와‘therapy’로 검색하여 세포 수준의 연구 동향, 동물 수준의 연구 동향, 비임상연구 및 임상연구 동향을 2015년 12 월 31일을 기준으로 각각 조사하였다. 총 72건이 CAR-T를 이용하여 치료제 개발이 진 행중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세포 수준의 연구는 13건, 동물 수준의 연구는 36건, 비 임상 연구는 9건, 임상연구는 14건이 보고되었다. 세포 수준의 연구는 T 세포에 바이 러스 벡터를 이용하여 전달한 다양한 항원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보는 실험 결과가 중 점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CAR-T를 이용한 주요 적응 질환은 혈액 림프종이나, 최근 고 형암에 대한 효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CAR-T 연구 동향은 CAR-T세포의 유전자 재조 합을 개선하고자 하는 세포 수준의 기초 연구 (표 7), 동물 수준에서의 효능 검증 연구 (표 8), 비임상 및 임상 연구 (표 9)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동물 수준의 연구는 세포 수준의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아직 최적화가 수행되지 않은 여러 비교 그룹들에 대하 여 동물에서 항암 효과의 여부를 평가하는 초기 단계의 개념 검증(proof of concept)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항암 효능 데이터의 제시가 주를 이룬다. 초기 단계의 개 념 검증 수준의 동물 시험과, 본 단계에서 최적화된 후보군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진입 을 위하여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GLP 시설에서 수행하는 비임상 연구와는 차 이점이 있어 본 보고서에서는 개념 검증 단계의 동물 수준 연구(표 8)와 비임상 연구 (표 9) 결과를 별도로 각각 분류하였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의 세포 수준의 기초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2세대 CAR-T에 대 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며 대상 암종도 혈액암 및 고형암 연구가 진행됨을 알 수 있다 (표 7). 동물 수준의 연구 보고 (표 8) 또한 제 2세대 CAR-T에 대한 연구가 가 장 많으며, 유럽에서 CAR-T의 표적 질환을 종양이 아닌 자가 면역계 신경 질환인 다 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에 대하여 시도한 연구 (Fransson et al., 2012), 미국에서 CAR-T를 진균 감염증에 대하여 적용한 연구가 새로운 적용 질환 분야로 주목된다 (Kumaresan et al., 2014). 비임상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고한 논문에서는 세포나 동물 수준과는 달리 3세대 CAR-T에 대한 보고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표되어있다 (표 9). 임상 수준의 연구에서 혈액암의 표적 항원으로는 CD19와 CD20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 33 -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초 연구에서 CAR 유전자를 T 세포에 도입하는 목적으로 바이러스성 벡터가 주로 사용되나, CAR의 발현 지속 기간을 단축시키고 바이러스 벡터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하여 물리적 방법인 전기 천공(electroporation)을 시도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바이러스성 벡터를 사용하여 유전자를 도입한 CAR-T 세포에서는 CAR의 발현이 수개 월간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지속적인 발현은 부작용 유발에도 관여 하므로 발현 기간의 지속이 바람직한 지에 대해서는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T 세 포의 세포막에 일시적인 전기적 자극으로 미세 세공을 형성하여 세포 내부로 CAR의 유전자를 도입하는 전기 천공은 발현되는 CAR의 발현 지속 기간이 수 일 정도로 알려 져 있다.

구분

세부질환

항원

도입 방법

Lymphoma

TRAILreceptor1

Retrovirus

Lymphoma

CD19

Lentivirus

B-cell lymphoma

CD20

Osteosarcoma

보조 자극 CD28, 4-1BB

국가

참고 문헌

일본

Kobayash, 2014

-

미국

Wang, 2012

Retrovirus

CD28

일본

Watanabe, 2015

HER2

Lentivirus

CD28

미국

Mata, 2014

Leukemia

CD19

Lentivirus

CD28

일본

Saito, 2014

Leukemia

HA-1 H/ HLA-A2

Retrovirus

CD28

일본

Inaguma, 2014

Breast cancer

ERBB2

Retrovirus

CD28

중국

Hu, 2012

Glioblastoma

EGFRvIII

Retrovirus

CD28

미국

Morgan, 2012

B-cell lymphoma

CD19

전기천공

CD28

미국

Torikai, 2012

Leukemia

CD123

Retrovirus

CD28

중국

Zhou, 2016

Gastric cancer

NKG2DL

Lentivirus

CD28

중국

Liu, 2015

Leukemia

CD19

전기천공

CD28

호주

Ramanayake, 2015

Multiple myeloma

CD138

Lentivirus

-

중국

Jiang, 2014

3세대

2세대

1세대

- 34 -

구분

항원

도입 방법

Neuroblastoma

GD2

Retrovirus

Lymphoma

CD4

Lentivirus

Glioblastoma

IL13Rα2

Retrovirus

Glioblastoma

EGFRvIII

Lentivirus

Leukemia

CD19

Lentivirus

Neuroblastoma

GD2

Retrovirus

Leukemia

CD19

Retrovirus

B-cell lymphoma

CD19

Retrovirus

CD28

일본

Breast cancer

ERB2

전기천공

CD28

중국

Wang, 2014

Aspergillus infection

Dectin1

전기천공

CD28

미국

Kumaresan, 2014

Breast cancer

HER2

Lentvirusi

CD28

중국

Sun, 2014

Colorectal cancer

CEA*

JetPEI polymer

CD28

이스 라엘

Blat, 2014

Melanoma, breast carcinoma

CSPG4*

Retrovirus

CD28

미국

Gelderes, 2014

Prostate cancer

PSMA*

Retrovirus

CD28

미국

Ma, 2014

Multiple myeloma

CS1

Retrovirus

CD28

미국

Chu, 2014

Glioblastoma

EphA2

Retrovirus

CD28

미국

Chow, 2012

Multiple myeloma

NYESO-1

Retrovirus

CD28

스위스

Schuberth, 2013

Multiple sclerosis

MOG*

Lentivirus

CD28

스웨덴

Fransson, 2012

Melanoma

B7

Retrovirus

CD28

한국

Shin, 2012

Head/neck cancer

ERBB receptors

Retrovirus

CD28

영국

Davies, 2012

Osteosarcoma

HER2

Retrovirus

CD28

미국

Rainusso, 2012

Ovarian cancer

Meso thelin

Lentivirus

CD28

미국

Lanitis, 2012

Osteosarcoma

IL-11Rα

전기천공*

CD28

미국

Huang, 2012

3세대

2세대

보조 자극 CD28, 4-1BB CD28, 4-1BB, CD4zeta CD28, 4-1BB or OX40

세부 질환

2세대

- 35 -

CD28, 4-1BB CD28, 4-1BB CD28, OX40 CD28, OX40

국가

참고 문헌

미국

Heczey, 2014

미국

Pinz, 2016

미국

Krenciute, 2015

일본

Kuramitsu, 2015

미국

Sommermeyer, 2015

미국

Caruana, 2015

노르 웨이

Almasbak, 2015 Tsukahara, 2015

2세대

Giloblastoma

ErbB2

Lentivirus

CD28

독일

Zhang, 2015

Melanoma

MCSP*

전기천공

CD28

독일

Krug, 2015

Leukemia

CD19

Retrovirus

CD28 or 4-1BB

미국

Zhao, 2015

Lung cancer, gastric cancer and colon cancer

EGFR

Lentivirus

CD28

중국

Ren, 2015

Leukemia

CD19

전기천공

CD28

호주

Dolinkov, 2015

Ovarian cancer

FRα

Lentivirus

CD27

미국

Schutsky, 2015

Prostate cancer

EpCAM

Retrovirus

CD28

중국

Wu, 2015

Lymphoma

CD19

Lentivirus

4-1BB

프랑스

Poirot, 2015

Osteosarcoma

IGF1R* or ROR1*

전기천공

4-1BB

미국

Huang, 2015

Leukemia

CD19

Retrovirus

CD28 or CD80

미국

Condomines, 2015

Lentivirus

4-1BB

미국

Qin, 2015

Lentivirus

CD28

미국

Lynn, 2015

전기천공

4-1BB

미국

Kenderian, 2015

Leukemia

Leukemia Leukemia

Thymic stromal lymphopoiet in receptor Folate receptor b CD33

*전기천공: electroporation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PSCA: prostate stem cell antigen *CD138: syndecan-1 *CSPG-4: chondroitin sulfate proteoglycan-4 *PSMA: 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MOG: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n

*MCSP : Melanoma-associated chondroitin sulfate proteoglycan *IGF1R : Type I insulin-like growth factor receptor *ROR1 : tyrosine kinase-like orphan receptor 1

- 36 -

CAR-T를 이용한 비임상 및 임상연구는 미국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비임 상 연구에서는 B 세포 림프종, 백혈병 등의 혈액암 이외에 신경 교종(glioma), 난소암 등의 고형암으로 대상 질환이 확대되는 것이 주목된다. 임상 연구에서는 레트로바이러 스(Retrovirus)가 CAR 유전자의 벡터(vector)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렌티바이러스 (Lentivirus)가 그 다음으로 사용되고 있다. 레트로바이러스와 렌티바이러스 벡터가 많 이 사용되는 것은 이들 바이러스 벡터가 염색체(chromosome)에 삽입 (Biffi et al., 2011; Themis et al., 2003)되어 발현 효능 및 지속 시간이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Adeno-associated virus)와 같이 핵 내에서 에피좀(episome) 형태로 주로 존재하는 벡터 보다 높은 효율을 보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염색체 삽입에 의한 돌연변이 위험 성(insertional mutagenesis)은 레트로바이러스 및 렌티바이러스에서 더욱 신중히 고려될 필요가 있다. 임상 연구의 표적 항원으로는 CD19가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백혈 병, 림프종이 주요 대상 질환이다.

구분

3세대

질환

항원

도입 방법

보조 자극

연구 현황

국가

참고 문헌

Leukemia

ROR1

Retrovirus

CD28, 4-1BB

임상

미국

Berger, 2015

Leukemia

CD19

Lentivirus

CD28, 4-1BB

임상

미국

Maude, 2014

Neuro blastoma

GD2

Retrovirus

CD28, OX40

비임상

미국

Nishio, 2014

Various cancers

FITC

Retrovirus

CD28, 4-1BB

비임상

미국

Tamada, 2013

Lymphoma

CD20

Lentivirus

CD28, 4-1BB

임상

미국

Budde, 2013

Lymphoma

CD20

Retrovirus

CD28, 4-1BB

임상

미국

Till, 2012

B-cell NHL

CD20

Retrovirus

CD28, 4-1BB

비임상

미국

Budde, 2013

- 37 -

2세대

2세대

1세대

B-cell lymphoma

CD20

Lentivirus

4-1BB

임상

중국

Wang, 2014

Glioblastoma

IL13Rα2

Lentivirus

CD28

비임상

미국

Krebs, 2014

Lymphoma

CD19

Retrovirus

CD28

임상

미국

Xu, 2014

Lymphoma

CD19

Retrovirus

CD28

임상

미국

Lee, 2014

Acute myeloid leukemia

LeY

Retrovirus

CD28

임상

호주

Ritchie, 2013

B-cell malignancies

CD19

Retrovirus

CD28

임상

미국

Kochenderfer, 2013

B-cell malignancies

CD19

Retrovirus

CD28

임상

미국

Kochenderfer, 2012

Glioma

IL13R

Retrovirus

CD28

비임상

미국

Kong, 2012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MPM)

Meso thelin

전기천공

4-1BB

임상

미국

Beatty, 2013

Various cancers

HER-2, CD19

Retrovirus

CD28

비임상

미국

Grada, 2013

Ovarian cancer

Mesothelin. a-folate receptor (FRa)

Lentivirus

CD28

비임상

미국

Lanitis, 2013

Various cancers

ROR-1

Lentivirus

4-1BB

비임상

미국

Hudecek, 2013

Leukemia

CD19

Retrovirus

CD28

비임상

미국

Barrett, 2013

Various cancers

MAGE-A

Retrovirus

-

임상

미국

Morgan, 2012

HIV

HIVgp120

Retrovirus

-

임상

미국

Scholler, 2012

Glioblastoma

IL13Rα2

전기천공

-

임상

미국

Brown, 2015

- 38 -

3.3 CAR-T 개발시 고려사항 CAR-T에 대한 임상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 FDA는 지난 2014 년 7월 Norvatis사의 CD19-CAR-T인 CTL019에‘Breakthough therapy’로 인정받아 CTL019의 신속한 개발에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CAR-T에 대한 별도의 가이드 라인은 아직 없으나, CAR-T에 대한 임상 연구가 미국에서 이미 2상까지 진행되어 있 는 상황에서 미국 FDA의 CAR-T에 대한 규제 관점은 2014년 5월의 국제 종양면역치료 학회에서 발표된 내용이 참고 될 수 있다 (Puri, 2014).

가. 안전성 평가 측면 1) CAR-T 투여후의 사이토카인 profile에 대한 연구 및 지표 사이토카인의 표준화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Cytokine release syndrome)은 체내에서 T 세포가 증식함에 따라 사이토카인이 과다 분비되어 유발되는 현상으로, CAR-T 요법에서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이다. 증상으로는 고열, 관절 및 근육통, 저혈압, 호흡곤란증이 관찰되며 심하면 사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사이토카인의 분비 증가는 T 세포가 체내에서 증식하고 있 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으나, 과다 분비시 부작용을 유발한다. 지난 2014년 3월에 미국의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에서 Juno Therapeutics의 CD19-CAR-T로 비호지킨 림포마에 대한 임상시험 중에 투여(infusion) 받은 지 2주 이내에 2명의 환자가 사망하여 임상시험이 일시 중지된 바 있다. 환자의 사망에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이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향후 어떤 사이토 카인이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 며, 현재 개발사마다 모두 다르게 측정하는 사이토카인의 종류 및 측정법에 대한 표준 화가 필요하다. 현재는 개발사들이 서로 다른 사이토카인을 측정하고 있어,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모니터하기 위하여 어떤 사이토카인들의 전체적 분비 변화에 대한 profile 연구 및 어떤 사이토카인을 지표 물질로 측정해야 할지에 대한 표준화도 필요 한 실정이다. CD19-CAR-T의 경우 항종양 효과는 어느 정도의 독성을 동반하였으므로 독성과 항종양 효능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향후 사이토카 인 방출 증후군에 대처하는 최적의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 39 -

2) CAR-T의 분포 및 혈중 거동에 대한 정량적 평가 체내로 주사된 CAR-T는 골수로 분포하며 혈중에서 10개월까지 CAR의 유전자가 PCR 방법으로 검출되는 것이 최근 보고되었다 (Ritchie et al., 2013). 그러나 CAR-T의 체내 분포, 각 장기별 체류 기간, 혈중 거동에 대하여 정량적인 연구는 아직 체계적으 로 수행된 바 없다. 체내 거동 연구는 향후 정상 조직에 분포되는 CAR-T의 부작용 유 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r-2와 같은 종양 표면 항원은 정상적인 뇌 조직, 유선(mammary gland)에서도 발현되며, carcinoembryonic antigen(CEA)은 결장 (colon)이나 정상 조직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조직에 CAR-T가 분포 된다면 정상 조직의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CAR-T의 분포 및 체내 거 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3) CAR-T에 의한 자가 면역 유도능에 대한 평가 현재 CAR-T가 자가 면역을 일으키는 가능성이 낮은 이유로서 투여되는 CAR-T의 낮은 투여 용량 및 한 개의 CAR-T가 여러 개의 종양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연쇄 살 상 효과(serial killing effect)로 설명이 되고 있다. 그러나, CAR-T가 자가 면역 (autoimmunity)을 유발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으며, 이에 자가 면역 유도능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요구된다.

4) 장기 추적조사 평가 CAR-T에 CAR 유전자 도입을 위하여 사용된 바이러스 벡터가 체내에서 증식 능력이 제한되어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이상의 장기적인 추적조사가 필요하다.

나. 유효성 평가 측면 1) 투여 용량 결정 CAR-T는 living drug으로 인식된다. 일정 개수의 CAR-T를 생체내에 주입된 후에 CAR-T가 생체 내에서 증식하므로, 생체 내에서 투여한 용량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증식 속도는 환자의 질환 상태, 연령대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다. 즉, 화학의약 품이나 증식하지 않는 단클론 항체와는 달리 CAR-T는 투여용량(dose)와 실제 적용량 - 40 -

(dose)이 달라지며, 환자에 따라 실제 dose가 변화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므로, 투여 용 량 대비 효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투여 용량의 경우에도 환자의 체중 당 투여 세포수를 조정해야 할지, 아니면 체표면적당 투여 세포수를 조정해야할 지에 대 한 사안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CAR-T는 투여된 후 골수로 이동하여 증식한다고 알려져 있어, 모니터링 단계에서 환자 혈액에서 CAR-T를 측정하는 것이 골수에서의 CAR-T의 증식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가 될지에 대해서도 고려가 필요하다. 현재 임상 2상 진행중인 경우의 투여 용량은 총 세포수의 용량 및 유전자 도입 효율 (transduction efficiency)를 2~50% 또는 10~50%로 계산하여 실제 투여되는 CAR-T의 세 포수 용량을 정하는 형태로 진행되기도 하며, CAR-T만의 투여용량으로 기재되기도 한 다 (표 10). 또한 여러 가지의 T 세포가 혼합된 CAR-T에서 어떤 subtype의 CAR-T가 항암 효능에 상관관계가 높은지에 대한 규명도 필요하다. 최근 동물 모델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CAR-T에 사용된 T 세포중에서 T cell memory stem cell로 알려 진 CD8(+)CD45RA(+)CCR7(+) CAR-T 세포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항암 효과가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Xu et al., 2014).

항원

질환

임상 등록번호

환자수

CLL

NCT01747486

34

B-cell ALL

NCT02030847

24

NHL

NCT02030834

55

CD19

CEA

Metastatic cancer

NCT01723306

48

실시기관

CAR-T 투여용량

1) 1~5x108 CAR-T세포 (1x109 총 세포수의 10~50%의 CAR-T 비율로 계산) Abramson 2) 1~5x107 CAR-T (1x108 총 세 Cancer Center 포수의 10~50%의 CAR-T 비 of the 율로 계산) University of Pennsylvania 1~5x108 CAR-T세포 (Novartis) 1~5x108 CAR-T 세포(총 세포수의 2~50% CAR-T 비율로 계산) Roger Williams Medical Center

미공개

출처 : www.clinicaltrials.gov

- 41 -

2) 효력(potency) 평가 제품 허가를 위하여 치료제의 효력 평가 자료가 요구되며, 타깃 종양 세포의 용해 (lysis) 유도능 평가법, cytokine의 분비를 측정하는 여러 방법들 중 어떤 시험방법이 효 력 평가에 가장 적절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CAR-T는 체내에서 증식하므로, 투 여되는 T 세포 중 CAR-T의 비율 및 CAR의 유전자 카피수(copy number)가 효력과 상 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평가도 필요하다.

3) T 세포에 유전자 도입 효율의 환자별 개인차 문제 CAR-T 제품의 균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나이와 병력에 따른 다른 치료제 의 사용 경력이 환자의 T 세포에 유전자를 도입시키는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4) 유전자 도입에 최적의 T 세포 type에 대한 고려 현재 임상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CAR-T 연구는 T 세포를 전체적으로 분리한 다음 유전자를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CAR 유전자를 발현하는 T 세포는 CD4 T, CD8 T, naive T, memory T 세포 들이 모두 환자에게 투여되는 상황이다. 이들 T 세포 중 특 히 T 세포의 다수를 차지하는 CD4 T 세포와 CD8 T 세포 중 어느 type의 세포가 CAR-T의 항암 효능에서 더욱 우수할 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현재 T 세포의 type 에 대한 구분을 별도로 하지 않고 연구가 진행되는 것은 T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일정 숫자까지 증식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의 제한에 의한 것으로 인식된다. 경제 적인 측면에서 현재의 CAR-T를 구성하는 T 세포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상 황일지라도, 어떤 type의 T 세포가 가장 효율적인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다면, CAR-T의 품질관리 차원에서 CAR-T를 구성하는 각각의 T 세포의 비율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데도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 품질 평가 측면 CAR-T의 제조 배치별 품질의 균일성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CMC(Chemistry and Manufacturing Control)에 대한 규제 과학적 연구가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제조 생산

- 42 -

되는 배치별로 확인시험(identity assay), 순도 시험(purity assay), 무균 시험(sterility) 등 이 품질평가를 위한 항목으로 고려할 수 있다.

1) 확인 시험 확인시험에서 CAR-T에 특이적인 지표가 설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지표의 예로는 CAR-T에

특징적인

세포

표면

마커,

유전자

발현,

유전적

다형성(genetic

polymorphism), 분비되는 물질, 특정 펩타이드 서열 등이 고려될 수 있다 (Vastan et al., 2013). CD4와 같은 세포 표면 마커는 CAR-T에 특이적인 것이 아니므로 CD4 외에 도 CAR-T의 특징을 반영하는 세포의 subpopulation에 대한 다른 지표를 추가적으로 사 용하여서 확인시험을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ex vivo 에서 증식하여 투여하는 T 세포 중 CAR-T의 비율에 대한 허용 범위의 설정을 CD4 T cell의 함량으로 할지, 아 니면 다른 지표를 사용하여서 설정할지 등은 중요하게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2) 순도 시험 CAR-T의 순도 시험으로는 CAR-T의 증식을 촉진하는데 사용된 단백질이나 펩타이 드 잔류량 시험, CAR-T 제조공정에 사용된 혈청,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항체 등에 대 한 잔류량 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예측되는 불순물들 각각에 대해서는 허용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3) 무균 시험 CAR-T는 T 세포의 분리, 유전자의 도입, CAR-T의 체외 증식 단계를 거치므로 각 생산 공정 단계에서 무균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CAR-T 세포에 대한 무균시 험은 세포치료제에 준하는 기준 및 시험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무균시험은 제조 과정 및 최종 제품에 대해 수행한다. 일반 주사제의 경우 최종 제 품에 대하여 14일간 무균시험을 하는 것이 적용되나, 세포치료제와 같이 유효기간이 짧은 제품의 경우, 환자 투여시점까지 무균시험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치료제에 적합한 무균을 확인할 수 있는 합리적인 시험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만, 환자 맞춤형으로 적용되어 ex vivo의 경우에는 대량 생산되는 품목이 아니기 때

- 43 -

문에 무균시험을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연구가 같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4) 마이코플라스마 및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 시험 무균시험 외에도 마이코플라스마 부정 시험, 외래성 바이러스에 대한 부정 시험의 수행이 필요하다. 사람 세포를 이용하여 제작한 CAR-T를 대상으로 시험해야 하는 외 래성 바이러스로는 Cytomegalovirus (CM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1 & 2, Human T-Lymphotropic virus (HTLV)-1 & 2, Epstein-Barr Virus (EBV), Hepatitis B Virus, Hepatitis C Virus, Human Parvovirus B19, Adenovirus, Adeno-Associated Virus (AAV) 등을 들 수 있으며, 세포 배양액이나 시약 중에 소나 돼지 등 동물 유래의 원료 가 사용된 경우에는 bovine virus, porcine virus 등을 확인해야 할 것이다.

5) 바이러스 벡터에 대한 품질 관리 CAR-T의 제조에서 CAR 유전자 도입에 사용되는 바이러스는 현재 retroviral vector 나 lentiviral vector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Wang et al., 2015). CAR 유전자를 전달하 는 바이러스 벡터를 바이러스의 순도(purity), 안전성(safety), T 세포내 CAR 유전자 발 현 효율 측면에서 품질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화 연구가 필요하다. 바이러스 벡터 자체의 특징 규명을 위해서는 바이러스 벡터의 유전자 지도(gene map)이 필요하며 이 지도에는 제한 효소의 위치, 삽입된 유전자의 위치, 프로모터, 인핸서(enhancer) 등의 조절 인자의 위치가 표시되어야 하며, 벡터의 유전자 전체 서열에 대한 분석 정보가 제시되어야 하며, 서열 분석에 이용한 시험방법도 같이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마스터 바이러스 뱅크(master viral bank)의 경우에는 순도, 안전성, 및 동정(identity) 을 위해서는 마스터 바이러스 뱅크에 사용된 바이러스의 기원, 배양 방법이 명시되어 야 하며, 무균시험, 마이코플라스마 부정시험,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시험, 증식가능성 (replication competent) 바이러스 부정시험 등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마스터 바이 러스 뱅크의 확인시험 (identity test)으로는 벡터 내에 CAR를 encoding하는 유전자의 존재가 증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마스터 바이러스를 동결 조건 등이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제조용 바이러스 뱅크 (working virus bank)의 경우에는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 시험, 증식가능성 바이러스 부정시험, 세균 및 진균 부정시험, 마이코플라스마 부정시 - 44 -

험, CAR 유전자 확인시험 등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 세포 내에서 CAR 유전자를 발현하는 효율은 CAR-T용 바이러스 벡터의 역가 (potency) 시험에 해당하는 내용이라 할 것이다. T 세포에서 CAR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확립되어야 하며, 역가에 대한 허용 기준이 합리적 근거에 의하여 설 정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역가 시험의 밸리데이션 또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6) 균질성(consistency) 평가 CAR-T 제조 공정은 여러 단계를 거치며 진행되므로, 각 단계 별로 품질 관리를 위 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림 14). CAR-T의 제조 공정에서 배치별로 CAR 유전자 도입의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전체 T 세포 중 유전자 도입이 된 CAR-T의 비율, 그리고 세포당 CAR 유전자 카피수(copy number)를 정량화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제조 배치별 균질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T 세포에 도입되는 CAR 유전자 탑재 바이러스 벡터가 제조 배치별로 일정한 감염 역가(MOI, multiplicity of infection)를 가지는 것이 T 세포 당 CAR의 발현량을 유지하는데 필요하 다. 따라서, CAR 유전자 탑재 바이러스 벡터의 감염 역가가 변동되지 않도록 바이러스 벡터 stock의 바이러스 양을 균질하게 표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45 -

출처 : Puri, 2014

7) CAR-T의 생산 및 유통에 대한 표준화 연구 CAR-T 연구는 대학 연구실에서 기업으로 기술이전된 것이 대부분으로 연구자에 따 라 CAR-T 및 CAR 유전자 벡터의 제조 공정이 서로 다르고 복잡하다. CAR-T의 임상 연구를 수행중인 연구 기관이나 제약업체에서 CAR-T의 생산, ex vivo에서의 세포 증 식, 또한 CAR-T의 유통 과정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진행되고 있다. 유전자 변형 세포 치료제에서 생산 및 유통은 제품의 품질에 중요한 변수로 작 용할 수 있는 인자로서 생산 공정 및 유통에 대한 품질 관리 및 프로토콜의 표준화 연 구가 요구된다. 특히 CAR-T는 자가 (autologous) 세포를 사용하므로, 유통 과정에서 제 품 표기(labeling)에 오류가 있을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표 기 사항을 다중으로 확인할 수 있는 품질관리 체계 확보 방안이 필요하다.

- 46 -

IV. 결 론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는 규제적인 관점에서 세포를 사용하는 세포치료제로 분류될 수 있다. 2010년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면역조절 세포치료제가 미국에서 최초로 승인되었 다. 그러나, 최근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분야의 발전이 눈부시고 첨단 개념의 면역조절 세포치료제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어, 이에 따른 규제관점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의 종류에 따라서 세포에 도입하는 항원의 물리·화학적 특징이 서로 다름에 따라 규제적인 관점도 달라지게 된다. T 세포에 외래 유전자가 바이러스 벡터 등으로 도입되는 TCR-T, CAR-T의 경우 세포치료제이자 유전자치료제라는 두 가 지 모두의 특징을 가지므로 규제적인 관점에서는 유전자치료제 및 세포치료제의 기준 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도 있다.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연구 분야에서 CAR-T는 가장 후발 주자이나, 그 동안 다른 방 법으로 치료되지 않았던 종양 질환에 대하여 높은 치료 효능을 보임으로서 급속한 관 심 속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미 다국적 제약사들이 선례가 없을 만큼 다양한 CAR-T에 대한 임상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고, 기존의 바이오 벤처에서 보유한 파 이프라인을 인수하는 등 CAR-T의 효능에 대한 기대감을 보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CAR-T 중에는 임상 2상 단계인 것이 6건으로서 수년 이내에 품목 허가를 받는 제품이 나올 것이라는 낙관적인 견해들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규제적인 측면에서 CAR-T는 탁월한 효능 만큼이나 부작용이 동반되는 living drug으로서 임상 시험의 설 계 및 부작용의 제어에 대한 연구가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CAR-T의 품질 관리 및 안전성에 대한 규제 과학적인 측면의 연구가 뒷받침되는 것이 필요하며, 향후 CAR-T 및 후발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에 대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평가 기술 구축은 국내에서 도 면역조절 세포치료제에 대한 임상 연구를 활발히 촉진하여 대한민국이 바이오 제약 강국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47 -

□ 참고문헌 1. Almåsbak H, Walseng E, Kristian A, Myhre MR, Suso EM, Munthe LA, Andersen JT, Wang MY, Kvalheim G, Gaudernack G, Kyte JA. Inclusion of an IgG1-Fc spacer abrogates efficacy of CD19 CAR T cells in a xenograft mouse model. Gene Ther. 2015;22(5):391-403. 2. Barrett DM, Liu X, Jiang S, June CH, Grupp SA, Zhao Y. Regimen-specific effects of RNA-modified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in mice with advanced leukemia. Hum Gene Ther. 2013;24(8):717-27. 3. Beatty GL, Haas AR, Maus MV, Torigian DA, Soulen MC, Plesa G, Chew A, Zhao Y, Levine BL, Albelda SM, Kalos M, June CH. Mesothelin-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 mRNA-engineered T cells induce anti-tumor activity in solid malignancies. Cancer Immunol Res. 2014;2(2):112-20. 4. Berger C, Sommermeyer D, Hudecek M, Berger M, Balakrishnan A, Paszkiewicz PJ, Kosasih PL, Rader C, Riddell SR. Safety of targeting ROR1 in primates with chimeric antigen receptor-modified T cells. Cancer Immunol Res. 2015;3(2):206-16. 5. Besser MJ, Shapira-Frommer R, Treves AJ, Zippel D, Itzhaki O, Hershkovitz L, Levy D, Kubi A, Hovav E, Chermoshniuk N, Shalmon B, Hardan I, Catane R, Markel G, Apter S, Ben-Nun A, Kuchuk I, Shimoni A, Nagler A, Schachter J. Clinical responses in a phase II study using adoptive transfer of short-term cultured tumor infiltration lymphocytes in metastatic melanoma patients. Clin Cancer Res 2010 ;16(9):2646-2655. 6. Biffi A, Bartolomae CC, Cesana D, Cartier N, Aubourg P, Ranzani M, Cesani M, Benedicenti F, Plati T, Rubagotti E, Merella S, Capotondo A, Sgualdino J, Zanetti G, von Kalle C, Schmidt M, Naldini L, Montini E. Lentiviral vector common integration sites in preclinical models and a clinical trial reflect a benign integration bias and not oncogenic selection. Blood. 2011;117(20):5332-5339. 7. Blat D, Zigmond E, Alteber Z, Waks T, Eshhar Z. Suppression of murine colitis and its associated cancer by carcinoembryonic antigen-specific regulatory T cells. Mol Ther. 2014;22(5):1018-28. 8. Brown CE, Badie B, Barish ME, Weng L, Ostberg JR, Chang WC, Naranjo A, Starr R, Wagner J, Wright C, Zhai Y, Bading JR, Ressler JA, Portnow J, D'Apuzzo M, Forman SJ, Jensen MC. Bioactivity and Safety of IL13Rα2-Redirected Chimeric Antigen Receptor CD8+

T

Cells

in

Patients

with

Recurrent

2015;21(18):4062-4072. - 48 -

Glioblastoma.

Clin

Cancer

Res.

9. Budde LE, Berger C, Lin Y, Wang J, Lin X, Frayo SE, Brouns SA, Spencer DM, Till BG, Jensen MC, Riddell SR, Press OW. Combining a CD20 chimeric antigen receptor and an inducible caspase 9 suicide switch to improv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 cell adoptive immunotherapy for lymphoma. PLoS One. 2013;8(12):e82742. 10. Caruana I, Savoldo B, Hoyos V, Weber G, Liu H, Kim ES, Ittmann MM, Marchetti D, Dotti

G.

Heparanase

promotes

tumor

infiltration

and

antitumor

activity

of

CAR-redirected T lymphocytes. Nat Med. 2015;21(5):524-529. 11. Casucci M, Bondanza A. Suicide gene therapy to increase the safety of chimeric antigen receptor-redirected T lymphocytes. J Cancer. 2011;2:378-82. 12.

Chen

YT.

The

journey

from

autologous

typing

to

SEREX,

NY-ESO-1,

and

cancer/testis antigens. Cancer Immun. 2012;12:8. 13. Chow KK, Naik S, Kakarla S, Brawley VS, Shaffer DR, Yi Z, Rainusso N, Wu MF, Liu H, Kew Y, Grossman RG, Powell S, Lee D, Ahmed N, Gottschalk S. T cells redirected

to

EphA2

for

the

immunotherapy

of

glioblastoma.

Mol

Ther.

2013;21(3):629-37. 14. Chu J, Deng Y, Benson DM, He S, Hughes T, Zhang J, Peng Y, Mao H, Yi L, Ghoshal K, He X, Devine SM, Zhang X, Caligiuri MA, Hofmeister CC, Yu J. CS1-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engineered natural killer cells enhance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against human multiple myeloma. Leukemia. 2014;28(4):917-27. 15.

Condomines

M,

Arnason

J,

Benjamin

R,

Gunset

G,

Plotkin

J,

Sadelain

M.

Tumor-Targeted Human T Cells Expressing CD28-Based Chimeric Antigen Receptors Circumvent CTLA-4 Inhibition. PLoS One. 2015;10(6):e0130518. 16. Davies DM, Foster J, Van Der Stegen SJ, Parente-Pereira AC, Chiapero-Stanke L, Delinassios GJ, Burbridge SE, Kao V, Liu Z, Bosshard-Carter L, Van Schalkwyk MC, Box C, Eccles SA, Mather SJ, Wilkie S, Maher J. Flexible targeting of ErbB dimers that

drive

tumorigenesis

by

using

genetically

engineered

T

cells.

Mol

Med.

2012;9;18:565-76. 17. Dolnikov A, Shen S, Klamer G, Joshi S, Xu N, Yang L, Micklethwaite K, O'Brien TA. Antileukemic potency of CD19-specific T cells against chemoresistant pediatric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Exp Hematol. 2015;43(12):1001-1014.

- 49 -

18. Dutcher JP, Creekmore S, Weiss GR, Margolin K, Markowitz AB, Roper M, Parkinson D, Ciobanu N, Fisher RI, Boldt DH, et al. A phase II study of interleukin-2 and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in patients with metastatic malignant melanoma. J Clin Oncol. 1989;7(4):477-485. 19. Duraiswamy J, Freeman GJ, Coukos G. Therapeutic PD-1 pathway blockade augments with other modalities of immunotherapy T-cell function to prevent immune decline in ovarian cancer. Cancer Res. 2013;73(23):6900-6912. 20. Fransson M, Piras E, Burman J, Nilsson B, Essand M, Lu B, Harris RA, Magnusson PU, Brittebo E, Loskog AS. CAR/FoxP3-engineered T regulatory cells target the CNS and suppress EAE upon intranasal delivery. J Neuroinflammation. 2012;30;9:112. 21. Geldres C, Savoldo B, Hoyos V, Caruana I, Zhang M, Yvon E, Del Vecchio M, Creighton CJ, Ittmann M, Ferrone S, Dotti G. T lymphocytes redirected against the chondroitin sulfate proteoglycan-4 control the growth of multiple solid tumors both in vitro and in vivo. Clin Cancer Res. 2014;15;20(4):962-71. 22. Goedegebuure PS, Douville LM, Li H, Richmond GC, Schoof DD, Scavone M, Eberlein TJ. Adoptive immunotherapy with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and interleukin-2 in patients with metastatic malignant melanoma and renal cell carcinoma: a pilot study. J Clin Oncol 1995;13(8):1939-1949. 23. Gill S, June CH. Going viral: chimeric antigen receptor T-cell therapy for hematological malignancies. Immunol Rev. 2015;263(1):68-89. 24. Grada Z, Hegde M, Byrd T, Shaffer DR, Ghazi A, Brawley VS, Corder A, Schönfeld K, Koch J, Dotti G, Heslop HE, Gottschalk S, Wels WS, Baker ML, Ahmed N. TanCAR: A novel bi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 for cancer immunotherapy. Mol Ther Nucleic Acids. 2013;2:e105. 25. Gulley JL, Mulders P, Albers P, Banchereau J, Bolla M, Pantel K, Powles T. Perspectives on sipuleucel-T: Its role in the prostate cancer treatment paradigm. Oncoimmunology. 2015;5(4):e1107698. 26. Heczey A, Liu D, Tian G, Courtney AN, Wei J, Marinova E, Gao X, Guo L, Yvon E, Hicks J, Liu H, Dotti G, Metelitsa LS. Invariant NKT cells with chimeric antigen receptor provide a novel platform for safe and effective cancer immunotherapy. Blood. 2014;124(18):2824-33. 27.

Hillerdal

V,

Ramachandran

M,

Leja

J,

- 50 -

Essand

M.

Systemic

treatment

with

CAR-engineered T cells against PSCA delays subcutaneous tumor growth and prolongs survival of mice. BMC Cancer. 2014;18(14):30. 28. Huang X, Park H, Greene J, Pao J, Mulvey E, Zhou SX, Albert CM, Moy F, Sachdev D, Yee D, Rader C, Hamby CV, Loeb DM, Cairo MS, Zhou X. IGF1R- and ROR1-Specific CAR T Cells as a Potential Therapy for High Risk Sarcomas. PLoS One. 2015;10(7):e0133152 29. Hudecek M, Lupo-Stanghellini MT, Kosasih PL, Sommermeyer D, Jensen MC, Rader C, Riddell SR. Receptor affinity and extracellular domain modifications affect tumor recognition by ROR1-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Clin Cancer Res. 2013;19(12):3153-64. 30. Hu WX, Chen HP, Yu K, Shen LX, Wang CY, Su SZ, Sui WJ, Shan DM, Li HZ. Gene therapy of malignant solid tumors by targeting erbB2 receptors and by activating T cells. Cancer Biother Radiopharm. 2012;27(10):711-8. 31. Huang G, Yu L, Cooper LJ, Hollomon M, Huls H, Kleinerman ES. Genetically modified T cells targeting interleukin-11 receptor α-chain kill human osteosarcoma cells and induce the regression of established osteosarcoma lung metastases. Cancer Res. 2012;72(1):271-81. 32. Inaguma Y, Akahori Y, Murayama Y, Shiraishi K, Tsuzuki-Iba S, Endoh A, Tsujikawa J, Demachi-Okamura A, Hiramatsu K, Saji H, Yamamoto Y, Yamamoto N, Nishimura Y, Takahashi T, Kuzushima K, Emi N, Akatsuka Y. Construc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T-cell receptor-like antibody and CAR-T cells specific for minor histocompatibility antigen HA-1H. Gene Ther. 2014;21(6):575-84. 33. Jarosławski S, Toumi M. Sipuleucel-T (Provenge(®))-Autopsy of an Innovative Paradigm Change in Cancer Treatment: Why a Single-Product Biotech Company Failed to Capitalize on its Breakthrough Invention. BioDrugs 2015;29(5):301-307. 34. Jiang H, Zhang W, Shang P, Zhang H, Fu W, Ye F, Zeng T, Huang H, Zhang X, Sun W, Man-Yuen Sze D, Yi Q, Hou J. Transfection of chimeric anti-CD138 gene enhances natural killer cell activation and killing of multiple myeloma cells. Mol Oncol. 2014;8(2):297-310. 35. John LB, Kershaw MH, Darcy PK. Blockade of PD-1 immunosuppression boosts CAR T-cell therapy. Oncoimmunology. 2013; 2(10):e26286. 36. Kenderian SS, Ruella M, Shestova O, Klichinsky M, Aikawa V, Morrissette JJ, Scholler

- 51 -

J, Song D, Porter DL, Carroll M, June CH, Gill S. CD33-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exhibit potent preclinical activity against human acute myeloid leukemia. Leukemia. 2015;29(8):1637-1647. 37. Kershaw MH, Westwood JA, Darcy PK. Gene-engineered T cells for cancer therapy. Nat Rev Cancer. 2013;13(8):525-41. 38. Kershaw MH, Westwood JA, Slaney CY, Darcy PK. Clinical appl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T cells in cancer therapy. Clin Transl Immunology. 2014;3(5):e16. 39. Kobayashi E, Kishi H, Ozawa T, Hamana H, Nakagawa H, Jin A, Lin Z, Muraguchi A. A chimeric antigen receptor for TRAIL-receptor 1 induces apoptosis in various types of tumor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4;453(4):798-803. 40. Kochenderfer JN, Dudley ME, Feldman SA, Wilson WH, Spaner DE, Maric I, Stetler-Stevenson M, Phan GQ, Hughes MS, Sherry RM, Yang JC, Kammula US, Devillier L, Carpenter R, Nathan DA, Morgan RA, Laurencot C, Rosenberg SA. B-cell depletion and remissions of malignancy along with cytokine-associated toxicity in a clinical

trial

of

anti-CD19

chimeric-antigen-receptor-transduced

T

cells.

Blood.

2012;119(12):2709-20. 41. Kochenderfer JN, Dudley ME, Carpenter RO, Kassim SH, Rose JJ, Telford WG, Hakim FT, Halverson DC, Fowler DH, Hardy NM, Mato AR, Hickstein DD, Gea-Banacloche JC,

Pavletic

SZ,

Sportes

C,

Maric

I,

Feldman

SA,

Hansen

BG,

Wilder

JS,

Blacklock-Schuver B, Jena B, Bishop MR, Gress RE, Rosenberg SA. Donor-derived CD19-targeted T cells cause regression of malignancy persisting after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lood. 2013;122(25):4129-39. 42. Kong S, Sengupta S, Tyler B, Bais AJ, Ma Q, Doucette S, Zhou J, Sahin A, Carter BS, Brem H, Junghans RP, Sampath P. Suppression of human glioma xenografts with second-generation IL13R-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modified T cells. Clin Cancer Res. 2012;18(21):5949-60. 43. Krebs S, Chow KK, Yi Z, Rodriguez-Cruz T, Hegde M, Gerken C, Ahmed N, Gottschalk

S.

mutein-chimeric

T

cells

antigen

redirected receptors

to

have

interleukin-13Rα2 anti-glioma

activity

with but

interleukin-13 also

recognize

interleukin-13Rα1. Cytotherapy. 2014;16(8):1121-31. 44. Krenciute G, Krebs S, Torres D, Wu MF, Liu H, Dotti G, Li XN, Lesniak MS, Balyasnikova IV, Gottschalk S. Characteriz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scFv-based Chimeric Antigen Receptors to Redirect T Cells to IL13Rα2-positive Glioma. Mol Ther.

- 52 -

2016;24(2):354-363. 45. Krug C, Birkholz K, Paulus A, Schwenkert M, Schmidt P, Hoffmann N, Hombach A, Fey G, Abken H, Schuler G, Schuler-Thurner B, Dörrie J, Schaft N. Stability and activity of MCSP-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s) depend on the scFv antigen-binding domain and the protein backbone. Cancer Immunol Immunother. 2015;64(12):1623-1635. 46. Kumaresan PR, Manuri PR, Albert ND, Maiti S, Singh H, Mi T, Roszik J, Rabinovich B, Olivares S, Krishnamurthy J, Zhang L, Najjar AM, Huls MH, Lee DA, Champlin RE, Kontoyiannis DP, Cooper LJ. Bioengineering T cells to target carbohydrate to treat opportunistic fungal infection. Proc Natl Acad Sci U S A. 2014;111(29):10660-5. 47. Kuramitsu S, Ohno M, Ohka F, Shiina S, Yamamichi A, Kato A, Tanahashi K, Motomura K, Kondo G, Kurimoto M, Senga T, Wakabayashi T, Natsume A. Lenalidomide enhances the function of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against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variant III by enhancing immune synapses. Cancer Gene Ther. 2015;22(10):487-495. 48. Lafreniere R, Rosenberg SA. Successful immunotherapy of murine experimental hepatic metastases with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and recombinant Interleukin 2. Cancer

–3741.

Res 1985; 45: 3735

49. Lanitis E, Poussin M, Hagemann IS, Coukos G, Sandaltzopoulos R, Scholler N, Powell DJ Jr. Redirected antitumor activity of primary human lymphocytes transduced with a fully human anti-mesothelin chimeric receptor. Mol Ther. 2012;20(3):633-43. 50. Lanitis E, Poussin M, Klattenhoff AW, Song D, Sandaltzopoulos R, June CH, Powell DJ Jr.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with dissociated signaling domains exhibit focused antitumor activity with reduced potential for toxicity in vivo. Cancer Immunol Res. 2013;1(1):43-53. 51. Lee DW, Barrett DM, Mackall C, Orentas R, Grupp SA. The future is now: chimeric antigen receptors as new targeted therapies for childhood cancer. Clin Cancer Res. 2012;18(10):2780-90. 52. Lee DW, Kochenderfer JN, Stetler-Stevenson M, Cui YK, Delbrook C, Feldman SA, Fry TJ, Orentas R, Sabatino M, Shah NN, Steinberg SM, Stroncek D, Tschernia N, Yuan C, Zhang H, Zhang L, Rosenberg SA, Wayne AS, Mackall CL. T cells expressing CD19 chimeric antigen receptors for acute lymphoblastic leukaemia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a phase 1 dose-escalation trial. Lancet. 2015;385:517-28.

- 53 -

53. Levine BL. Performance-enhancing drugs: design and production of redirected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 cells. Cancer Gene Ther. 2015;22(2):79-84. 54. Liu X, Sun M, Yu S, Liu K, Li X, Shi H.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y for gastric cancer peritoneal metastasis by NKG2D ligands-specific T cells. Onco Targets Ther. 2015;8:3095-3104. 55. Lynn RC, Poussin M, Kalota A, Feng Y, Low PS, Dimitrov DS, Powell DJ Jr. Targeting of folate receptor β on acute myeloid leukemia blasts with chimeric antigen receptor-expressing T cells. Blood. 2015;125:3466-3476. 56. Ma Q, Safar M, Holmes E, Wang Y, Boynton AL, Junghans RP. Anti-prostate specific membrane

antigen

designer

T

cells

for

prostate

cancer

therapy.

Prostate.

2014;61(1):12-25. 57. Maher J. Clinical immunotherapy of B-cell malignancy using CD19-targeted CAR T-cells. Curr Gene Ther. 2014;14:35-43. 58. Mata M, Vera JF, Gerken C, Rooney CM, Miller T, Pfent C, Wang LL, Wilson-Robles HM, Gottschalk S. Toward immunotherapy with redirected T cells in a large animal model: ex vivo activation, expansion, and genetic modification of canine T cells. J Immunother. 2014;37(8):407-15. 59. Maude SL, Frey N, Shaw PA, Aplenc R, Barrett DM, Bunin NJ, Chew A, Gonzalez VE, Zheng Z, Lacey SF, Mahnke YD, Melenhorst JJ, Rheingold SR, Shen A, Teachey DT, Levine BL, June CH, Porter DL, Grupp SA.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for sustained remissions in leukemia. N Engl J Med. 2014;371(16):1507-17. 60. Maus MV, Grupp SA, Porter DL, June CH. Antibody-modified T cells: CARs take the front seat for hematologic malignancies. Blood. 2014;123(17):2625-35. 61. Morgan RA, Dudley ME, Wunderlich JR, Hughes MS, Yang JC, Sherry RM, Royal RE, Topalian

SL,

Kammula

US,

Restifo

NP,

Zheng

Z,

Nahvi

A,

de

Vries

CR,

Rogers-Freezer LJ, Mavroukakis SA, Rosenberg SA. Cancer regression in patients after transfer of genetically engineered lymphocytes. Science 2006;314(5796):126-9. 62. Morgan RA, Chinnasamy N, Abate-Daga D, Gros A, Robbins PF, Zheng Z, Dudley ME, Feldman SA, Yang JC, Sherry RM, Phan GQ, Hughes MS, Kammula US, Miller AD, Hessman CJ, Stewart AA, Restifo NP, Quezado MM, Alimchandani M, Rosenberg AZ, Nath A, Wang T, Bielekova B, Wuest SC, Akula N, McMahon FJ, Wilde S, Mosetter

- 54 -

B, Schendel DJ, Laurencot CM, Rosenberg SA. Cancer regression and neurological toxicity following anti-MAGE-A3 TCR gene therapy. J Immunother. 2013;36(2):133-51. 63. Morgan RA, Johnson LA, Davis JL, Zheng Z, Woolard KD, Reap EA, Feldman SA, Chinnasamy N, Kuan CT, Song H, Zhang W, Fine HA, Rosenberg SA. Recognition of glioma stem cells by genetically modified T cells targeting EGFRvIII and development of adoptive cell therapy for glioma. Hum Gene Ther. 2012;23(10):1043-53. 64. Nava S, Dossena M, Pogliani S, Pellegatta S, Antozzi C, Baggi F, Gellera C, Pollo B, Parati EA, Finocchiaro G, Frigerio S. An optimiz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inical scale dendritic cell-based vaccine for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 PLoS One. 2012;7(12):e52301. 65. Nishio N, Diaconu I, Liu H, Cerullo V, Caruana I, Hoyos V, Bouchier-Hayes L, Savoldo B, Dotti G. Armed oncolytic virus enhances immune functions of chimeric antigen receptor-modified T cells in solid tumors. Cancer Res. 2014;74(18):5195-205. 66. Nguyen LT, Yen PH, Nie J, Liadis N, Ghazarian D, Al-Habeeb A, Easson A, Leong W, Lipa J, McCready D, Reedijk M, Hogg D, Joshua AM, Quirt I, Messner H, Shaw P, Crump M, Sharon E, Ohashi PS. Expans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melanoma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TILs). PLoS One 2010;5(11):e13940. 67. Ochoa AC, Gromo G, Alter BJ, Sondel PM, Bach FH. Long-term growth of lymphokine-activated killer (LAK) cells: role of anti-CD3, beta-IL 1, interferon-gamma and

–beta. J Immunol 1987;138(8):2728-2733.

68. Phillips JH, Lanier LL. Dissection of the lymphokine-activated killer phenomenon. Relative contribution of peripheral blood natural killer cells and T lymphocytes to cytolysis. J Exp Med. 1986;164(3):814-825. 69. Pilon-Thomas S, Mackay A, Vohra N, Mulé JJ. Blockade of programmed death ligand 1 enhances the therapeutic efficacy of combination immunotherapy against melanoma. J Immunol. 2010;184(7):3442-9. 70. Pinz K, Liu H, Golightly M, Jares A, Lan F, Zieve GW, Hagag N, Schuster M, Firor AE, Jiang X, Ma Y. Preclinical targeting of human T-cell malignancies using CD4-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engineered

T

cells.

Leukemia.

2016;30:701-707. 71. Poirot L, Philip B, Schiffer-Mannioui C, Le Clerre D, Chion-Sotinel I, Derniame S, Potrel P, Bas C, Lemaire L, Galetto R, Lebuhotel C, Eyquem J, Cheung GW, Duclert

- 55 -

A, Gouble A, Arnould S, Peggs K, Pule M, Scharenberg AM, Smith J. Multiplex genome-edited T-cell manufacturing platform for "Off-the-Shelf" adoptive T-cell immunotherapies. Cancer Res. 2015;75:3853-3864. 72. Puri RK, FDA Perspective on the regulation of TCR/CAR T-cell products. 2014 May, 12th CIMT (Cancer Immunotherapy) annual symposium, Germany. 73. Qin H, Cho M, Haso W, Zhang L, Tasian SK, Oo HZ, Negri GL, Lin Y, Zou J, Mallon BS, Maude S, Teachey DT, Barrett DM, Orentas RJ, Daugaard M, Sorensen PH, Grupp SA, Fry TJ. Eradication of B-ALL using chimeric antigen receptor-expressing T cells targeting the TSLPR oncoprotein. Blood. 2015; 126:629-639. 74. Rainusso N, Brawley VS, Ghazi A, Hicks MJ, Gottschalk S, Rosen JM, Ahmed N. Immunotherapy

targeting

HER2

with

genetically

modified

T

cells

eliminates

tumor-initiating cells in osteosarcoma. Cancer Gene Ther. 2012;19(3):212-7. 75. Ramanayake S, Bilmon I, Bishop D, Dubosq MC, Blyth E, Clancy L, Gottlieb D, Micklethwaite

K.

Low-cost

generation

of

Good

Manufacturing

Practice-grade

CD19-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expressing T cells using piggyBac gene transfer and patient-derived materials. Cytotherapy. 2015;17:1251-1267. 76. Ren X, Ma W, Lu H, Yuan L, An L, Wang X, Cheng G, Zuo S. Modification of cytokine-induced

killer

cells

with

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s)

enhances

antitumor immunity to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positive malignancies. Cancer Immunol Immunother. 2015;64:1517-1529. 77. Ritchie DS, Neeson PJ, Khot A, Peinert S, Tai T, Tainton K, Chen K, Shin M, Wall DM, Hönemann D, Gambell P, Westerman DA, Haurat J, Westwood JA, Scott AM, Kravets L, Dickinson M, Trapani JA, Smyth MJ, Darcy PK, Kershaw MH, Prince HM. Persistence and efficacy of second generation CAR T cell against the LeY antigen in acute myeloid leukemia. Mol Ther. 2013;21(11):2122-9. 78. Rosenberg SA, Lotze MT, Muul LM, Leitman S, Chang AE, Ettinghausen SE, Matory YL,

Skibber

JM,

Shiloni

E,

Vetto

JT,

Seipp

CA,

Simpson

C,

Reichert,

CM.

Observations on the systemic administration of autologous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and recombinant interleukin-2 to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N Engl J Med 1985;313(23):1485-1492. 79. Saito S, Nakazawa Y, Sueki A, Matsuda K, Tanaka M, Yanagisawa R, Maeda Y, Sato Y, Okabe S, Inukai T, Sugita K, Wilson MH, Rooney CM, Koike K. Anti-leukemic potency of piggyBac-mediated CD19-specific T cells against refractory Philadelphia

- 56 -

chromosome-positive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ytotherapy. 2014;16(9):1257-69. 80. Scholler J, Brady TL, Binder-Scholl G, Hwang WT, Plesa G, Hege KM, Vogel AN, Kalos M, Riley JL, Deeks SG, Mitsuyasu RT, Bernstein WB, Aronson NE, Levine BL, Bushman FD, June CH. Decade-long safety and function of retroviral-modified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Sci Transl Med. 2012;4(132):132-53. 81. Schutsky K, Song DG, Lynn R, Smith JB, Poussin M, Figini M, Zhao Y, Powell DJ Jr. Rigorous optimization and validation of potent RNA CAR T cell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ommon

epithelial

cancers

expressing

folate

receptor.

Oncotarget.

2015;6:28911-28928. 82. Schuberth PC, Jakka G, Jensen SM, Wadle A, Gautschi F, Haley D, Haile S, Mischo A, Held G, Thiel M, Tinguely M, Bifulco CB, Fox BA, Renner C, Petrausch U. Effector memory and central memory NY-ESO-1-specific re-directed T cells for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Gene Ther. 2013;20(4):386-95. 83. Shin JH, Park HB, Oh YM, Lim DP, Lee JE, Seo HH, Lee SJ, Eom HS, Kim IH, Lee SH, Choi K. Positive conversion of negative signaling of CTLA4 potentiates antitumor efficacy of adoptive T-cell therapy in murine tumor models. Blood. 2012;119(24):5678-87. 84. Sims RB. Development of sipuleucel-T: autologous cellular immun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castrate resistant prostate cancer. Vaccine 2012;30(29):4394-7. 85. Sommermeyer D, Hudecek M, Kosasih PL, Gogishvili T, Maloney DG, Turtle CJ1, Riddell SR. Chimeric antigen receptor-modified T cells derived from defined CD8(+) and

CD4(+)

subsets

confer

superior

antitumor

reactivity

in

vivo.

Leukemia.

2016;30:492-500. 86. Sun M, Shi H, Liu C, Liu J, Liu X, Sun Y.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a novel humanized HER2-specific chimeric receptor. Breast Cancer Res. 2014;16(3):R61. 87. Sznol M, Chen L. Antagonist antibodies to PD-1 and B7-H1 (PD-L1)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human cancer. Clin Cancer Res. 2013;19(5):1021-1034. 88. Tamada K, Geng D, Sakoda Y, Bansal N, Srivastava R, Li Z, Davila E. Redirecting gene-modified T cells toward various cancer types using tagged antibodies. Clin Cancer Res. 2012;18(23):6436-45. 89. Themis M, May D, Coutelle C, Newbold RF. Mutational effects of retrovirus insertion on the genome of V79 cells by an attenuated retrovirus vector: implications for gene

- 57 -

therapy. Gene Ther. 2003;10(19):1703-1711. 90. Till BG, Jensen MC, Wang J, Qian X, Gopal AK, Maloney DG, Lindgren CG, Lin Y, Pagel JM, Budde LE, Raubitschek A, Forman SJ, Greenberg PD, Riddell SR, Press OW. CD20-specific adoptive immunotherapy for lymphoma using a chimeric antigen receptor with

both

CD28

and

4-1BB

domains:

pilot

clinical

trial

results.

Blood.

2012;119(17):3940-50. 91. Torikai H, Reik A, Liu PQ, Zhou Y, Zhang L, Maiti S, Huls H, Miller JC, Kebriaei P, Rabinovitch B, Lee DA, Champlin RE, Bonini C, Naldini L, Rebar EJ, Gregory PD, Holmes MC, Cooper LJ. A foundation for universal T-cell based immunotherapy: T cells engineered to express a CD19-specific chimeric-antigen-receptor and eliminate expression of endogenous TCR. Blood. 2012;119(24):5697-705. 92. Tsukahara T, Iwase N, Kawakami K, Iwasaki M, Yamamoto C, Ohmine K, Uchibori R, Teruya T, Ido H, Saga Y, Urabe M, Mizukami H, Kume A, Nakamura M, Brentjens R, Ozawa K. The Tol2 transposon system mediates the genetic engineering of T-cells with CD19-specific chimeric antigen receptors for B-cell malignancies. Gene Ther. 2015;22(2):209-15. 93. Vatsan RS, Bross PF, Liu K, Theoret M, De Claro AR, Lu J, Helms W, Niland B, Husain SR, Puri RK. Regulation of immunotherapeutic products for cancer and FDA's role in product development and clinical evaluation. J Immunother Cancer. 2013;1:5 94. Wang C, Hu W, Shen L, Dou R, Zhao S, Shan D, Yu K, Huang R, Li H. Adoptive antitumor immunotherapy in vitro and in vivo using genetically activated erbB2-specific T cells. J Immunother. 2014;37(7):351-9. 95. Wang Y, Zhang WY, Han QW, Liu Y, Dai HR, Guo YL, Bo J, Fan H, Zhang Y, Zhang YJ, Chen MX, Feng KC, Wang QS, Fu XB, Han WD. Effective response and delayed toxicities

of

CD20-directed

refractory chimeric

advanced antigen

diffuse

large

B-cell

receptor-modified

T

lymphoma cells.

Clin

treated

by

Immunol.

2014;155(2):160-75. 96. Wang X, Naranjo A, Brown CE, Bautista C, Wong CW, Chang WC, Aguilar B, Ostberg JR, Riddell SR, Forman SJ, Jensen MC. Phenotypic and functional attributes of lentivirus-modified CD19-specific human CD8+ central memory T cells manufactured at clinical scale. J Immunother. 2012;35(9):689-701. 97. Wang X, Rivière I. Manufacture of tumor- and virus-specific T lymphocytes for adoptive cell therapies. Cancer Gene Ther. 2015;22(2):85-94.

- 58 -

98. Watanabe K, Terakura S, Martens AC, van Meerten T, Uchiyama S, Imai M, Sakemura R, Goto T, Hanajiri R, Imahashi N, Shimada K, Tomita A, Kiyoi H, Nishida T,

Naoe

T,

Murata

M.

Target

antigen

density

governs

the

efficacy

of

anti-CD20-CD28-CD3 ζ chimeric antigen receptor-modified effector CD8+ T cells. J Immunol. 2015;194(3):911-20. 99. Wu R, Forget MA, Chacon J, Bernatchez C, Haymaker C, Chen JQ, Hwu P, Radvanyi LG. Adoptive T-cell therapy using autologous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for metastatic melanoma: current status and future outlook. Cancer J. 2012;18(2):160-175. 100. Wu Y, Deng Z, Tang Y, Zhang S, Zhang YQ. Over-expressing Akt in T cells to resist tumor immunosuppression and increase anti-tumor activity. BMC Cancer. 2015;15:603. 101. Xu Y, Zhang M, Ramos CA, Durett A, Liu E, Dakhova O, Liu H, Creighton CJ, Gee AP, Heslop HE, Rooney CM, Savoldo B, Dotti G. Closely related T-memory stem cells correlate with in vivo expansion of CAR.CD19-T cells and are preserved by IL-7 and IL-15. Blood. 2014;123(24):3750-9. 102. Zhang C, Burger MC, Jennewein L, Genßler S, Schönfeld K, Zeiner P, Hattingen E, Harter PN, Mittelbronn M, Tonn T, Steinbach JP, Wels WS. ErbB2/HER2-specific NK cells for targeted therapy of glioblastoma. J Natl Cancer Inst. 2015;108 103. Zhao Y, Moon E, Carpenito C, Paulos CM, Liu X, Brennan AL, Chew A, Carroll RG, Scholler J, Levine BL, Albelda SM, June CH. Multiple injections of electroporated autologous T cells expressing a chimeric antigen receptor mediate regression of human disseminated tumor. Cancer Res. 2010;70(22):9053-61. 104. Zhao Z, Condomines M, van der Stegen SJ, Perna F, Kloss CC, Gunset G, Plotkin J, Sadelain M. Structural design of engineered costimulation determines tumor rejection kinetics and persistence of CAR T cells. Cancer Cell. 2015;28:415-428. 105. Zhou L, Liu X, Wang X, Sun Z, Song XT. CD123 redirected multiple virus-specific T cells for acute myeloid leukemia. Leuk Res. 2016;41:76-84.

- 59 -

면역조절 세포치료제 연구개발 동향 ══════════════════════════════════════════





일 :

2016년 6월 30일





인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장 손여원

편 집 위 원 장 :

의료제품연구부장 홍성화



첨단바이오제품과





원 :

서수경, 류승렬, 엄준호, 백정희, 김호, 우정남, 이보연 안전성평가연구소 문경식 충북보건과학대학교 박기랑 서울대학교 오유경 인하대학교 최병현 발





서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첨단바이오제품과

══════════════════════════════════════════





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첨단바이오제품과







호 :

043) 719-4751~7







호 :

043) 719-4750

Copyright © 2024 DOKUMEN.SITE Inc.